- 발음
- [비둘기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비둘기목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멧비둘기, 염주비둘기, 홍비둘기, 흑비둘기 따위의 여러 종류가 있다. 야생종과 집비둘기로 크게 나누는데 야생종은 대부분 텃새이다. 부리가 짧고 다리도 가늘고 짧으며 날개가 큰 편이다. 식도의 큰 모이주머니에 먹이를 저장하고 그 벽에서 암죽을 분비하여 새끼에게 먹인다. 성질이 온순하여 길들이기 쉽고 귀소성을 이용하여 통신에 사용한다. 평화를 상징하는 새이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비덜기(강원, 경북, 전라, 중국 길림성), 삐들기(강원), 비둘키(경남, 충북), 비들키(경남, 전남, 충북), 삐덜개(경남, 중국 흑룡강성), 삐둘개(경남), 삐들개(경남), 삐달기(경북), 삐들구(경북), 삐들깨(경북), 비들개(경상), 비들캐(경상), 삐덜기(경상, 전라,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삐덜캐(경상), 삐덜키(경상, 전라, 충북), 삐둘기(경상, 전라, 함남, 중국 흑룡강성), 삐둘키(경상, 전북), 배들구(전남), 비닭이(전남), 비둘구(전남), 빼들기(전남), 삐덜구(전남), 삐들쿠(전남), 삐털구(전남), 비달기(전라), 비들구(전라), 삐달구(전라), 삐달쿠(전라), 삐덜쿠(전라), 삐둘구(전라), 삐둘쿠(전라), 삐들키(전라), 비들귀(제주)
역사 정보
비두리(15세기~19세기)>비둘기(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비둘기’의 옛말인 ‘비두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현대 국어와 같은 ‘비둘기’ 형태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17세기까지 ‘비두리’와 ‘비둘기’가 공존하였다. 이후 18세기에 와서 ‘비두리’는 사라지고 ‘비둘기’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7~19세기 문헌에는 이 밖에 ‘비돌기, 비들기, 비기’의 예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비두리, 비둘기, 비이, 비기, 비돌기, 비들기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4)
- 속담비둘기는 몸은 밖에 있어도 마음은 콩밭에 가 있다
- 먹을 것에만 정신이 팔려 온전히 다른 볼일을 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비둘기는 콩밭에만 마음이 있다’
- 속담비둘기는 콩밭에만 마음이 있다
- 먹을 것에만 정신이 팔려 온전히 다른 볼일을 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비둘기는 몸은 밖에 있어도 마음은 콩밭에 가 있다’
- 속담비둘기는 하늘을 날아도 콩밭을 못 잊는다
- 비둘기가 콩밭에만 마음을 두듯이 사람은 아무리 좋은 곳을 떠돌아다녀도 자기가 살던 고장을 잊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비둘기 마음은 콩밭에 있다
- 자기에게 이득이 있거나 자기가 흥미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서만 관심을 갖고 정신을 파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