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히려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일반적인 기준이나 예상, 짐작, 기대와는 전혀 반대가 되거나 다르게.
자기가 잘못하고서는 오히려 큰소리친다.
미안한 것은 오히려 내 쪽이야.
우리의 도움이 오히려 그들에게 해가 되지나 않을지 걱정된다.
그의 웃음소리는 호탕하기는커녕 오히려 가련하게 들렸다.
그런데 우습게도 나는 처음과는 달리 불쾌하지 않았고, 오히려 야릇한 호기심마저 일어나는 것이었다.≪김성동, 만다라≫
예방 주사 맞다가 오히려 병이 걸릴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수술대 위에 뉘어진 그는 살아 있다는 것이 오히려 기적처럼 느껴졌다.≪홍성원, 육이오≫
박 원장은 영희를 안심시키려고 엷은 미소까지 지었지만, 영희는 그게 오히려 더 불길하고 두렵게 느껴졌다.≪이문열, 변경≫
지섭이 그렇게 흥분하면 할수록 나 실장은 오히려 그 말씨나 태도가 더욱 겸손하고 침착해지고 있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그가 간직하고 있던 하나의 소망,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자신을 구출해 주리라고 믿었던 바깥세상은 오히려 그를 배반했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나이 서른다섯인데 아이를 셋이나 낳고, 지지리 고생은 하면서도 타고난 바탕이 있어 그런지, 오히려 나이보다도 젊어 보였다.≪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태임이는 조금도 잘못한 기색 없이 꼬박꼬박 말대답을 하고도 오히려 못다 한 말을 가까스로 참는 것처럼 어깨로 숨을 쉬며 새근댔다.≪박완서, 미망≫
공판 때 방청석에서 바라본 현태는 전에 없이 이발을 깨끗이 하고, 안색도 수감되기 이전보다 오히려 건강한 빛을 띠고 있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그 연락병의 갑작스러운 출현은 그들 대화를 그쯤에서 끝내기에 충분한 계기가 됐지만, 일은 오히려 거기서 엉뚱하게 전개됐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역사 정보

오히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히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오히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근대 국어 시기에 보이는 ‘오힐여’는 ‘오히려’를 과잉 분철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오히려, 외히려, 오힐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히려))
이 經功德을 닐오 오히려 몯 다 니노라 ≪1447 석상 19:42ㄴ
16세기 : ((오히려, 외히려))
오히려 엇디 도라오뇨 ≪1588 소언 4:33ㄱ
釋迦도 외히려 아디 몯시곤 ≪1579 선가 1ㄱ
17세기 : ((오히려, 오힐여, 외히려))
왼 버히되 오히려 굴티 아니니 ≪1617 동신속 열8:6ㄴ≫
다 패망 후에 외히려 스스로 활을 혀 ≪1617 동신속 충1:61ㄴ≫
부모 상  오힐여 소고 ≪1617 동신속 효8:74ㄴ≫
18세기 : ((오히려, 오힐여))
孩兒 나히 오히려 졈어시니 ≪1721 오륜전비 4:27ㄴ
그 원이 오힐여 내 계시거니와 ≪1762 지장 하:6ㄱ
19세기 : ((오히려))
오히려 스로 숨기샤 ≪1865 주년 16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