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딛따

- 활용
- 부딪어[부디저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과)】【(…과) …을】
-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무엇과 무엇이 힘 있게 마주 닿거나 마주 대다. 또는 닿거나 대게 하다.
- 뱃전에 부딪는 잔물결 소리.
- 바위에 도끼날 부딪는 소리와 함께 불이 번쩍 났다.
- 그는 지나가는 사람에게 부딪는 바람에 들고 있던 컵을 놓치고 말았다.
- 물소리에 섞여 간간이 연장 끝이 돌멩이에 부딪고 땅에 끌리는 소리가 날카롭게 울렸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 아이는 책상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자 울음을 터뜨렸다.
- 모르는 사람이 나에게 몸을 부딪어 왔다.
- 아이가 모퉁이에서 자전거와 부딪고는 나가동그라졌다.
- 공을 잡으려던 선수들이 부딪어 경기가 중단되었다.
- 두 대의 자동차가 정면으로 부딪는 장면은 매우 끔찍하였다.
- 그 수비수는 공격수와 다리를 부딪는 바람에 부상을 입게 되었다.
- 두 아이가 서로 이마를 부딪으며 장난을 하고 있다.
역사 정보
브드잊다(17세기)>부드잊다(18세기)/부듸잊다(18세기)>부딎다(19세기)>부딪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딪다’의 옛말인 ‘브드잊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브드잊다’는 ‘브드-’와 “이지러지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잊-’이 결합한 것이다. ‘브드-’는 ‘브드티다’에서도 확인되나, 단독으로 쓰인 예나 이 밖의 다른 단어와 결합한 예는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의미 파악은 어렵다. 17세기 문헌에는 ‘브드잊-’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여 8종성법에 따라 ‘브드잇-’으로 표기된 예만 보인다. 18세기에는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를 겪어 ‘부드잊다’ 형태가 나타났으며, 뒤의 모음 ‘ㅣ’의 영향으로 앞 음절에 반모음 ‘ㅣ’[y]가 첨가된 ‘부듸잊다’ 형태도 나타난다. 19세기에 등장한 ‘부딋다’는 ‘부듸잊다’가 축약한 것으로 자음 어미 앞에서 ‘부딋-’으로 표기된 것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부딪다’가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브드잇다, 부드잊다, 부듸잇다, 부듸잊다, 부딋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