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언따

- 활용
- 얹어[언저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
- 「001」위에 올려놓다.
- 기와를 얹다.
- 지붕을 얹다.
- 선반에 그릇을 얹다.
- 이마에 손을 얹다.
- 담에 이엉을 얹다.
- 그녀는 얌전하게 두 손을 무릎 위에 얹은 자세로 앉아 있었다.
- 금침을 개어 얹고 툇마루 기둥에 걸려 있던 비를 가지고 들어와 방바닥을 쓸었다.≪한무숙, 만남≫
- 우산을 받아 든 칠룡은 먼저 우산 위에 얹은 공이 떨어지지 않게 우산을 돌리며 뛰어다니는 재주를 했다.≪한수산, 부초≫
- 아이의 손에서 떨어져 나와 기어에 손을 얹거나 다른 기계를 조작하고 있는 내 손을 보면 사무치게 외로워 보였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만석이는 아내의 이마에 손을 얹고, 눈자위가 퀭하게 꺼진 아내의 얼굴을 내려다보고 있었다.≪송기숙, 암태도≫
- 방 안으로 들어선 안 천총이 문을 닫고는 쓰고 있던 중절모를 벗어 문갑 위에 얹고, 들고 온 약첩을 그 옆에다 놓았다.≪김원일, 불의 제전≫
- 간수는 한 번 읽고 공문을 책상 위에 얹고는, 독고 민에게 다가와서 그의 팔을 잡았다.≪최인훈, 구운몽≫
- 상철이는 여란이의 어깨에 손을 얹으며 모든 것이 잘 될 것 같다고 말했다.≪박완서, 미망≫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엱다(15세기~17세기)>얹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얹다’의 옛말인 ‘엱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 ‘엱다’와 함께 ‘다’도 나타나는데 ‘다’는 음절 말에서 ‘ㅈ’이 ‘ㅅ’으로 발음된 것을 표기에 반영한 것이다. 18세기 들어 ‘엱다’의 반모음 ‘ㅣ’가 탈락된 ‘얹다’가 나타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엱다, 다, 얹다, 다, 언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