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베개

- 품사
- 「명사」
- 「001」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
- 베개를 베다.
- 베개를 고쳐 베다.
- 베개를 고이다.
- 그는 베개를 받치고 누워 텔레비전을 보았다.
- 그녀는 베개에 얼굴을 파묻고 울었다.
- 눈물이 흘러 베개를 적시었다.
- 눈물에도 응어리가 있는 것인지. 이미 베개 속으로 흥건하게 스며든 눈물이 끈끈한 점액인 양 찐득하였다.≪최명희, 혼불≫
- 상감은 어머님의 무릎을 베개 삼아 고요히 누워 있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 그네가 그의 베개 옆에 앉더니 주전자 주둥이를 내밀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 뜨거운 것이 눈가를 타고 흘러 귓불을 적시며 베개 위로 주르륵 굴러떨어졌다.≪한수산, 유민≫
- 어머니의 베개는 잠이 안 오거나 몸이 괴로울 때마다 내 허전한 품속을 채워 주는 효과가 있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비개(강원, 경상, 전남, 충청), 버개(경기, 충남), 보개(경기), 비개기(경기), 베-기(경남), 별침(경남), 볘-개(전남), 빌-침(전남)
- 옛말
- 벼개
역사 정보
벼개(15세기~19세기)>베개(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베개’의 옛말인 ‘벼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벼개’는 동사 ‘볘-’와 접미사 ‘-개’가 결합한 ‘*볘개’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한 것이다.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베개’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벼개’가 ‘베개’가 된 것은 동사 ‘볘다’가 ‘베다’로 변화한 것에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벼개, 베개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관용구·속담(2)
- 관용구베개를 높이 베다[하다]
- 안심하고 편안하게 푹 자거나 태평스럽게 지내다.
- 이제 나이 든 막내딸을 시집보냈으니 베개를 높이 베겠구나.
- 속담베개를 높이 하고 자게 되였다
- 큰 근심거리가 없어져서 마음 편안히 지내게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