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리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Hordeum vulgare var. hexasticon
- 「001」볏과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고 곧고 속이 비었으며, 마디가 길다. 잎은 어긋나고 긴 선 모양으로 겉이 매끄러우며 나란히맥이 있다. 꽃은 5월에 수상(穗狀) 화서로 달리는데 이삭에는 까끄라기가 있다. 알이 껍질에서 잘 떨어지는지에 따라 쌀보리와 겉보리로, 파종 시기에 따라 가을보리와 봄보리로 나눈다. 보리쌀은 보리밥·맥주·된장·빵 따위의 원료이고, 줄기는 여름 모자·공예품·제지용·퇴비 따위에 쓴다. 서남아시아, 이집트가 원산지로 전 세계 온대 지방에서 재배한다.
- 보리 두 말.
- 보리 두 섬.
- 보리 베기.
- 보리를 갈다.
- 보리를 거두다.
- 보리를 밟다.
- 보리를 심다.
- 보리가 누렇게 익었다.
- 부엌에는 쌀이 한 사발가량 깨끗이 씻겨 있었고, 보리가 그들의 조반을 위해서 정결한 냄새를 풍기고 있었다.≪이정환, 샛강≫
- 요사이 보리는 하루가 다르게 누레지고 있었다. 벌써 보리를 베어 낸 밭이 보였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보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보리, 볼이, 볼리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8)
- 관용구보리(를) 타다
- (속되게) 매를 맞다.
- 경후는 그들이 싸우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윤수가 보리를 탈까 무서워서 김 서방을 뜯어말려 보았다. ≪이기영, 신개지≫
- 속담보리 가시랭이가 까다로우냐 괭이 가시랭이가 까다로우냐
- 매우 성미가 까다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리 갈아 놓고 못 참는다
- 빨리 결과를 얻으려고 성급히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가을에 땅을 갈아 보리를 심어 그 이듬해에 가서 거두어 먹는 것은 정해진 이치라는 뜻으로, 으레 정해져 있는 사실을 가지고 구태여 말할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리로 담근 술 보리 냄새가 안 빠진다
- 제 본성은 그대로 지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보리술이 제맛 있다’
- 속담보리를 베면서 가라면 하루에 갈 길을 평지에서 걸어가라면 닷새도 더 걸린다
- 보리를 거두어들이는 일이 힘들지만 신이 나는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리 안 패는 삼월 없고 나락 안 패는 유월 없다
- 모든 일에는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리 주면 오이[외] 안 주랴
- 제 것은 아까워하면서 남만 인색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 있어야 받는 것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