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버선

- 품사
- 「명사」
- 「001」천으로 발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어 종아리 아래까지 발에 신는 물건. 흔히 무명, 광목 따위 천으로 만드는데 솜을 두기도 하고 겹으로 만들기도 한다.
- 버선 두 죽.
- 버선 세 켤레.
- 한복을 입고 버선을 신다.
- 어머니께서는 한겨울에도 버선 한 짝 제대로 못 신고 홑저고리 바람으로 지내셨다.
- 달주는 자리에 앉아서 버선으로 발의 펄을 쓱쓱 훔쳐 냈다.≪송기숙, 녹두 장군≫
- 남편은 발등만 덮는 흙 묻은 버선을 신고 나가는 길에 닭장을 열어 준다.≪이광수, 흙≫
- 두루마기로부터 버선까지 일습의 한복이 거기 보관돼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외씨 같은 삼승 흰 버선에 연둣빛 운혜 신이 아담하다.≪박종화, 다정불심≫
- 맏언니의 저고리, 둘째 언니의 치마, 셋째 언니의 고쟁이, 넷째 언니의 속옷, 다섯째 언니의 버선, 여섯째 언니의 댕기를 빌려서 몸치장을 하였다.≪한승원, 해일≫
- 탁수는 초희의 치마허리에 가 어른거리는 눈길을 어쩌지 못한다. 끌릴 듯이 버선 뒤꿈치를 가린 치마가 올라가며 감싼 허리는 불면 날아갈 듯이 하늘거렸다.≪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족건(足巾)
- 지역어(방언)
- 보선(강원, 경기, 경상, 제주, 충청, 함경), 버순(경남), 버신(경남), 보슨(경남, 전남), 보신(경남, 전남), 버신-데기(전남), 보손(전남, 평안, 함경), 보순(전남), 질목짝(전남), 보싱(전라), 버손(평북, 중국 요령성), 바선(함북), 버션(함북, 중국 길림성), 보셔니(함북), 보쇼니(함북)
- 옛말
- 보션
역사 정보
보션(15세기~19세기)>버션(19세기)>버선(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버선’의 옛말인 ‘보션’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제1음절의 모음 ‘ㅗ’가 ‘ㅓ’로 바뀐 ‘버션’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버션’에서 모음 ‘ㅕ’가 ‘ㅓ’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버선’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보션, 버션, 버선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2)
- 속담버선 신고 발바닥 긁기
- 버선을 신고 발바닥을 긁으면 긁으나 마나라는 뜻으로, 요긴한 곳에 직접 미치지 못하여 안타까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신 신고 발바닥 긁기’ ‘구두 신고 발등 긁기’ ‘목화 신고 발등 긁기’ ‘옷을 격해 가려운 데를 긁는다’ ‘옷 입고 가려운 데 긁기’
- 속담버선 신고 진창 걷기
- 버선발로 진창을 걷는다는 뜻으로, 격에 맞지 않게 하는 행동을 비꼬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