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스라하다발음 듣기]
활용
아스라하여[아스라하여](아스라해[아스라해]), 아스라하니[아스라하니]
품사
「형용사」
「001」보기에 아슬아슬할 만큼 높거나 까마득하게 멀다.
아스라하게 높은 저 절벽 꼭대기까지 맨손으로 올라가야 한다고?
드디어 떠난다고 생각하니 일종의 서글픔이 일기도 했으나, 그보다는 아스라한 지붕 위가 그녀에겐 견딜 수 없이 현기증을 불러왔기 때문이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아라다(15세기)>아랍다(16세기)>아라다(17세기~18세기)>아스라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스라하다’의 옛말 ‘아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간행된 광주판 ≪천자문≫에 ‘아라올’이라는 어형이 등장하는데 이는 ‘아랍다’ 혹은 ‘아라오다’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활용형일 것이다. 둘 중 ‘아랍다’ 쪽이 언어 변화를 설명하기에 더 자연스러운 형태일 것으로 보인다. ‘아랍다’는 ‘아라다’와 품사와 의미가 동일한 어휘였을 것으로 보이며 공통된 어근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아라다’에는 “붉다”는 뜻의 ‘가다’에 포함된 것과 같은 ‘-아/어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아라다’에는 ‘아-’이라는 용언 어간이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아랍다’는 이 ‘아-’에, 형용사에 종종 포함되어 있는 접미사 ‘-압-’이 결합된 형태이다. 한편 ‘아라다’는 ‘ㅿ’이 완전히 소멸되고 난 17세기부터는 ‘아라다’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아라다’는 18세기까지 나타난다. ‘ㅿ’는 소멸되면서 ‘아라다’처럼 아무 음소도 남기지 않기도 하지만 ‘ㅅ’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현대 국어 ‘아스라하다’ 역시 ‘아라다’에서 발달한 것인데 이를 볼 때 근대 시기에 ‘아라다’와 ‘아라다’가 방언형으로서 공존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 국어에서는 ‘ㅅ’이 남아 있는 계열이 살아남은 것이다. 이 ‘아라다’는 문헌 자료에서 찾아보기는 힘들다. ‘아스라하다’는 20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아라다, 아랍다, 아라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라다))
聖賢ㅅ 일후미 오라 아라니 나그내로 뇨매 病이 마다 보차놋다 ≪1481 두시-초 3:13ㄴ
16세기 : ((아랍다))
아라올 요 ≪1575 천자-광 32ㄱ
17세기 : ((아라다))
聖賢ㅅ 일후미 오라 아라니 나그내로 뇨매 病이 마다 보채놋다 ≪1632 두시-중 3:13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