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애달프다

- 활용
- 애달파[애달파], 애달프니[애달프니]
- 품사
- 「형용사」
- 「001」마음이 안타깝거나 쓰라리다.
- 애달픈 사연.
- 자기의 지체가 낮아서 품석 장군과 혼담이 있다가 깨어지고 자기는 이 이름도 없는 금일에게 시집을 온 것을 생각하니 애달프기 짝이 없다.≪홍효민, 신라 통일≫
- 그렇게도 그립고 그렇게도 보고 싶던 남편을 지척에 두고 못 만나는 슬프고 애달픈 마음이야 여북하랴마는….≪현진건, 무영탑≫
- 자모의 위대한 사랑을 어머니를 여의고 난 뒤에야 비로소 느낄 수 있는 것이 더욱 안타깝고 애달픈 일이었다.≪이기영, 봄≫
역사 정보
애다(15세기~18세기)>다(18세기~19세기)>애달프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애달프다’의 옛말인 ‘애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애다’는 “창자”를 뜻하는 ‘애’와 “안타깝거나 조마조마하여 마음이 몹시 조급해지다”를 뜻하는 ‘-’과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와 19세기의 ‘다’는 이 시기에 ‘애’와 ‘’가 단모음화를 겪는 과정에서 표기의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두 어형의 발음은 동일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애다, 다, 애닭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