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애달프다발음 듣기]
활용
애달파[애달파], 애달프니[애달프니]
품사
「형용사」
「001」마음이 안타깝거나 쓰라리다.
애달픈 사연.
자기의 지체가 낮아서 품석 장군과 혼담이 있다가 깨어지고 자기는 이 이름도 없는 금일에게 시집을 온 것을 생각하니 애달프기 짝이 없다.≪홍효민, 신라 통일≫
그렇게도 그립고 그렇게도 보고 싶던 남편을 지척에 두고 못 만나는 슬프고 애달픈 마음이야 여북하랴마는….≪현진건, 무영탑≫
자모의 위대한 사랑을 어머니를 여의고 난 뒤에야 비로소 느낄 수 있는 것이 더욱 안타깝고 애달픈 일이었다.≪이기영, 봄≫

역사 정보

애다(15세기~18세기)>다(18세기~19세기)>애달프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애달프다’의 옛말인 ‘애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애다’는 “창자”를 뜻하는 ‘애’와 “안타깝거나 조마조마하여 마음이 몹시 조급해지다”를 뜻하는 ‘-’과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와 19세기의 ‘다’는 이 시기에 ‘애’와 ‘’가 단모음화를 겪는 과정에서 표기의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두 어형의 발음은 동일하였다.
이형태/이표기 애다, 다, 애닭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애다))
憤 미 애올시오1482 남명 下:43ㄴ
간도 瞋心며 애온  업스실 ≪1482 금삼 3:55ㄴ
16세기 : ((애다))
진실로 나 애와 주거 셟게 다 ≪1510년대 번박 상:35ㄴ
애올 감 ≪1576 신합 하:35ㄱ
17세기 : ((애다))
긔별 듣고 셜워 애기 예 들게 더니 ≪1617 동신속 충1:61ㄴ≫
氣不忿 애다1690 역해 상:38ㄱ
18세기 : ((애다, 다))
가히 애도다1756 천의 3:17ㄱ
氣不忿 애다1778 방유 신부:23ㄱ
오히려 가히 온 거시 이시니 ≪1765 경세 17ㄴ
19세기 : ((다, 애닭다))
이런 흉악 고로옴을 밧으니 도다1897 주교 상:65ㄴ
애닭다 哀惜 ≪1895 국한 2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