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십따발음 듣기]
활용
싶어[시퍼발음 듣기], 싶으니[시프니발음 듣기]
품사
「보조 형용사」
「001」((동사 뒤에서 ‘-고 싶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마음이나 욕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먹고 싶다.
보고 싶다.
가고 싶은 고향.
어릴 적에는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해라.
책을 읽고 싶으면 언제라도 와서 봐라.
나는 사실을 알고 싶었지만 아무도 말해 주지 않았다.

역사 정보

식브다(15세기~17세기)>십브다(16세기)>시브다(17세기~19세기)>시프다(17세기~19세기)>싶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싶다’의 옛말인 ‘식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식브다’의 제1음절 종성 ‘ㄱ’이 ‘ㅂ’으로 바뀐 ‘십브다’ 형태가 나타났다. 17세기에는 연속되는 동일 자음 ‘ㅂ’ 중에서 제1음절의 종성 ‘ㅂ’이 탈락하여 ‘시브다’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고, 또한 ‘시브다’의 ‘ㅂ’이 ‘ㅍ’으로 유기음화한 ‘시프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19세기에 ‘시프다’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ㅡ’가 탈락한 ‘싶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다만 실제 문헌상으로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말 자음이 ‘ㅂ’으로 표기된 ‘십다’의 예만 보인다. 한편 18~19세기 문헌에는 양순음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뀐 ‘시부다, 시푸다’ 형태도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식브다, 십브다, 싣브다, 시브다, 시프다, 십다, 시부다, 시보다, 시푸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식브다)
나고져 식브녀 阿難일 브리신대 오샤 내 나리다 ≪1447 월곡 48ㄱ
 요니 미츄미 나  우르고져 식브니 簿書 엇뎨 리 오 서르 지즈뇨 ≪1481 두시-초 10:28ㄴ
하 貴실 하로셔 나신가 식브건마 그리 아니라 ≪1459 월석 4:33ㄴ
겨레 가 식브거든 져기 시 야 머고미  됴니라 ≪1489 구간 7:41ㄴ
16세기 : (식브다, 십브다, 싣브다)
안즉 놀애며 춤과 치고져 식브니라1518 번소 6:7ㄴ
곤븨야 이 도읠가 십브거든1518 번소 7:18ㄴ
디혜 두려워 거틸  업고져코 뎍은 모나 프러디디 말오져 싣븐 거시라 ≪1518 번소 8:1ㄴ
17세기 : (식브다, 십브다, 시브다, 시프다)
욘 것과 안존 거싀 비츨 자가 식브도소니 軒楹에셔 양 어루 브를가 식브도다1632 두시-중 16:46ㄱ
김씨 닐오 슬퍼 아니 먹논디 아니라 먹고져 십브디 아니니 당당이 병이로소이다 고 ≪1617 동삼 열:6ㄴ≫
 요니 미츄미 나 장 우르고져 시브니 簿書 엇뎨 리 오 서르 지즈뇨 ≪1632 두시-중 10:28ㄴ
司馬溫公이 오 棺이 두텁고쟈 시프나 그러나 너모 두터오면 므거워 곰 멀리 가져가기 어려올 거시오 ≪1632 가언 5:6ㄱ
信使ㅣ 가시게 면 됴 시프다 니 ≪1676 첩신-초 7:20ㄴ
18세기 : (시부다, 시보다, 시프다)
네  사을 언나 능히 모득가 시부뇨1756 천의 4:21ㄴ
그러치 아니면 짐 기 어려올가 시보오니 얼현이 마쇼셔 ≪1748 첩신-개 10하:12ㄱ
아마도 冠帶을 시미 죠흘가 시프외1748 첩신-개 7:18ㄴ
19세기 : (시부다, 시푸다, 십다)
고 시부다 欲爲 ≪1880 한불 86
나 니 가고 시푸나 내 등에 잇 짐 에 니 갈 수 업노라 ≪1894 천로 8ㄴ
임 보고 십다 思欲見君 ≪1895 국한 2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