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끄럽따

- 활용
- 미끄러워[미끄러워


- 품사
- 「형용사」
- 「001」거침없이 저절로 밀려 나갈 정도로 번드럽다.
- 바닥이 미끄럽다.
- 미끄러운 계단을 조심스럽게 밟고 올라갔다.
- 얼음이 녹았다가 다시 얼곤 해서 우툴두툴한 표면이 그리 미끄럽지는 않았다.≪황석영, 삼포 가는 길≫
- 물속의 바위는 몸을 가누기가 어려울 정도로 미끄러웠다.≪안정효, 하얀 전쟁≫
- 경사가 급하지 않지만 골목은 계속 오르막이어서 미끄러웠다.≪이상문, 황색인≫
- 낙엽들로 뒤덮인 황토 흙의 산록은 빗물에 젖어 빙판처럼 미끄러웠다.≪홍성원, 육이오≫
- 전차는 바람을 모로 맞으며 이상한 소리를 내며 휘뚝거리며 미끄럽게 달렸다.≪이호철, 소시민≫
- 이른 식전이라 안개는 자욱하고 미끄러운 진흙 논에는 말 뛰닫는 소리조차 없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영애의 권하는 대로, 여해는 미끄럽고 부드러운 모본단 보료에 자리를 잡았다.≪현진건, 적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믯그럽다(15세기~19세기)>밋그럽다(19세기)>미끄럽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끄럽다’의 옛말인 ‘믯그럽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믯그럽다’는 기원적으로 동사 ‘*믯글-’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이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믯그럽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밋그럽-’,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밋그러우-’로 어간이 교체되는 ㅂ 불규칙용언이었다. 19세기에는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밋그럽다’ 형태가 나타났고, 현대 국어에서는 제2음절 초성을 된소리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미끄럽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믯그럽-, 믯그러우-, 믯럽-, 믯글업-, 밋그럽-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