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싱겁따발음 듣기]
활용
싱거워[싱거워발음 듣기], 싱거우니[싱거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음식의 간이 보통 정도에 이르지 못하고 약하다.
물을 많이 넣어 국이 싱겁다.
먹어 보고 싱거우면 간장을 더 넣어라.
배추를 고춧가루에 버무려 접시에 담아 저녁 식탁에 올렸는데 날배추처럼 싱겁고 맛이 없었어도….≪안정효, 하얀 전쟁≫
재상의 집 김치는 간이 무척 짜다. 그 까닭은 하인들이나 식객이 싱거운 김치를 마구 먹을까 겁낸 것이다.≪조풍연, 청사 수필≫
밥상을 받은 평산은 늘 그랬듯이 짜니 싱겁느니, 숟가락으로 밥을 푹푹 쑤시고, 그러나 무사히 먹어 주었다.≪박경리, 토지≫
제사 음식이라 간을 못 봐서 싱겁지나 않나 모르겠네.≪한수산, 유민≫
찬이 없어 싱겁지요. 고추장을 여기 떠 왔소.≪홍명희, 임꺽정≫

역사 정보

슴겁다(15세기~19세기)>승겁다(18세기~19세기)>싱겁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싱겁다’의 옛말인 ‘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슴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어간말음의 ‘ㅸ’이 ‘ㅂ’으로 중화되어 ‘슴겁-’으로 나타나고,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슴-’으로 나타나는 ‘슴-/슴겁-’의 교체를 보이는 규칙 용언이었다. 그런데 15세기에 ‘ㅸ’이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ㅜ’로 변화하면서 1460년대 문헌부터 ‘슴거우-’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1460년대 이후에는 ‘슴겁-, 슴거우-’의 교체를 보이는 ‘ㅂ’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현재 확인되는 15세기 문헌에서는 ‘ㅸ’이 소실된 형태인 ‘슴거우-’만이 확인된다. 18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ㄱ’의 영향으로 제1음절의 끝소리 ‘ㅁ’이 ‘ㅇ’으로 바뀌어 ‘승겁다’가 되었다. 이후 19세기에 ‘ㅅ, ㅈ, ㅊ’ 아래 오는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모음화가 일어났는데 ‘승겁다’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20세기에 ‘싱겁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슴겁-, 슴거우-, 슴거오-, 승겁-, 승거우-, 승거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슴거우-)
네짯 句 能과 所왜 다 업손 고디 이 올오 슴거워 寂滅 大用 어즈러이 니와도미니 ≪1482 남명 상:71ㄱ
16세기 : (슴겁-, 슴거우-)
이 이 슴겁다 소곰 잇거든 져기 가져오라 ≪1510년대 번노 상:61ㄴ-62ㄱ
네 맛보라 녀 슴거우녀 엇더고 ≪1510년대 번노 상:21ㄴ-22ㄱ
17세기 : (슴겁-, 슴거오-)
슴겁다1690 역해 상:53ㄴ
이 탕이 슴거오니 소곰쟝 잇거든 져기 가져 오라 ≪1670 노언 상:55ㄴ
18세기 : (슴겁-, 슴거오-, 승겁-, 승거우-)
내 맛보니 젹이 슴겁다  젹이 소곰 두라 ≪1790 몽노 2:4ㄱ
내 맛 보니 져기 슴거온 다 ≪1763 노신 1:27ㄴ
승겁다1790 몽해 상:48ㄱ
승거울 담 淡 ≪1781 왜해 상:48ㄴ
19세기 : (슴거오-, 승겁-, 승거오-)
이 임의 하에 잇서 셰복이 연이 가얍고 슴거오리니 무 어려온 곳이 잇서 지 아닛뇨 ≪1892 성직 56ㄱ
고 승겁단 말 ≪1869 규합 9ㄱ
소곰물이 승거오면 며조가 다가 도로 려 안니 ≪1869 규합 5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짜다반대말높임말싱겁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