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수저

- 품사
- 「명사」
- 「001」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수저를 놀리다.
- 수저를 놓다.
- 수저를 들다.
- 수저로 밥을 먹다.
- 수저 두 벌과 밥그릇, 그리고 우리 부부의 사랑만 있으면 되지, 뭐 다른 것이 또 필요하겠니?
- 여란이는 빨리 한술 뜨고 그 자리를 면하는 게 수다 싶어 본데없이 보이건 말건 어른이 수저도 들기 전에 밥을 먹기 시작했다.≪박완서, 미망≫
- 화덕 위의 냄비를 들고 나왔다. 그 속에는 사기그릇이며 수저 나부랭이를 손에 잡히는 대로 듬뿍 넣었다.≪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 따로 밥상 내올 것 없고 밥 한 그릇과 수저 한 벌만 가져다주게.≪박경리, 토지≫
- 막상 밥과 수저가 밥상 위에 놓이자 혜관은 순순히 밥상 앞으로 다가왔다.≪박경리, 토지≫
- 그때 가게 문 열리는 소리가 났다. 한참 부엌에서 수저가 짤랑거리는 소리가 들리더니 이윽고 술상이 들어왔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역사 정보
수져(16세기~18세기)>수저(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수저’의 옛말인 ‘슈져’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수져’는 숟가락을 뜻하는 ‘술’에 젓가락을 뜻하는 ‘져’가 결합된 것이다. 단어와 단어가 결합할 때 ‘ㅅ, ㄷ, ㄴ, ㅈ’ 앞에 오는 ‘ㄹ’이 탈락하는 현상은 ‘쇼’((馬)+쇼(牛)), ‘바질’(바(針)+-질) 등과 같이 15․16세기 문헌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술져’는 ‘ㄹ’ 탈락 없이 두 단어가 결합한 형태가 그대로 나타난 것이다. ‘수져’의 제2음절의 ‘져’는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져’와 ‘저’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저’로 바뀌어 ‘수저’로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수져, 술져, 슈져, 수저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