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쉬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어렵거나 힘들지 아니하게.
그 사고를 쉬이 잊을 수가 없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쉬(15세기)>쉬이(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쉬이’의 옛말인 ‘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쉬’는 “쉽다”라는 뜻을 가진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된 부사이다. ‘쉬’의 제2음절 ‘ㅸ’의 음가는 이미 15세기에 [w]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ㅸ’이 일반적으로 반모음 w로 변하였던 것을 고려하면 ‘’가 ‘ㅟ’로 변하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이는데 ‘’는 ‘ㅟ’보다 ‘이’로 변하는 예가 더 많다. 이로 인해 15세기에 ‘쉬이’가 나타난 것이다. 이 ‘쉬이’가 현재까지 이어진다. 한편 ‘수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5세기에 ‘ㅟ’는 단모음 ‘ㅜ[u]’와 반모음 ‘ㅣ[y]’가 결합된 이중모음이었는데 이 시기에 반모음 ‘ㅣ[y]’가 쉽게 탈락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수이’가 15세기부터 나타날 수 있었다.
이형태/이표기 쉬, 수, 수비, 쉬이, 쉬, 수이, 쉬히
세기별 용례
15세기 : ((쉬, 수, 쉬이, 수이))
옷 밥 쉬 어드리라 호 져근 果 쉬 求호 가비 ≪1459 월석 13:15ㄱ
사마다  수 니겨 ≪1447 훈언 3ㄴ
正受 쉬이 일니 ≪1461 능엄 6:89ㄱ
훤히 수이 알리로다 ≪1481 두시-초 3:9ㄴ
16세기 : ((수, 수비, 쉬이, 수이, 쉬))
祖師關 수 몯 차 ≪1517 몽산-고 8ㄱ
戒 디녀 수비 靈驗을 得리라 ≪1517 몽산-고 법:1ㄴ
 쉬이 너겨 ≪1518 번소 10:25ㄴ
이젯 사이 수이 아디 몯 거시니 ≪1588 소언 5:7ㄱ
이젯 사미 아디 몯니 ≪1518 번소 6:7ㄴ
17세기 : ((쉬이, 쉬, 수이))
늘구매 쉬이 슬프도다 ≪1632 두시-중 23:9ㄴ
죵이 젹거 ≪1617 동신속 효3:76ㄴ≫
엇디 나 수이 주기디 아니뇨 ≪1617 동신속 열6:6ㄴ≫
18세기 : ((쉬이, 쉬히, 수이, 쉬))
비 쉬이 리오고 ≪1756 천의 2:50ㄱ
그 갓치 쉬히 니디 아니야 ≪1792 무원 3:49ㄴ≫
새 집의 수이 드러 ≪1790 인어 9:23ㄴ
내 더옥 진퇴 이시믈 미더 ≪1796 경신 27ㄴ
19세기 : ((쉬이, 쉬, 수이, 쉬히))
쉬이 易 ≪1880 한불 437
힘의 능히  업더라 여도 ≪1852 태상 3:17ㄱ
수이 알지 못지니라 ≪1895 독본 14ㄴ
고로온 곳을 쉬히 지나 ≪1892 성직 1:51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