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쉬ː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4」쉬이’의 준말.
잠을 청하려 했으나 잠이 오지 않았다.

관련 어휘

본말
쉬이

역사 정보

쉬(15세기)>쉬이(15세기~19세기)>쉬(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쉬’의 옛말인 ‘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ㅸ’이 사라지면서 여러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ㅣ’ 모음 앞에 있는 ‘ㅸ’은 탈락되었다. 그리하여 15세기에 ‘쉬’와 함께 ‘쉬이’가 공존하게 된 것이다. 이후 16세기에 제1음절의 반모음 ‘ㅣ’[y]와 제2음절 모음 ‘ㅣ’가 축약되어 ‘쉬’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쉬’의 모음이 반모음 [y]가 결합한 이중모음 [uy]이었으나 근대국어 시기 이중모음의 성격이 변화하여 반모음 [w]가 결합한 이중모음 [wi]가 되었다. 즉 표기는 동일하나 중세국어 시기에는 [uy]로 발음되던 ‘쉬’가 근대국어 이후에 [wi]로 발음되는 ‘쉬’로 소리가 변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쉬’는 형용사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이다. 15세기에 ‘쉬’와 함께 ‘수’도 공존하였는데 ‘수’는 “易”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에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는 ‘쉬, 수’가 공존하였고, ‘ㅸ’이 탈락한 이후에는 19세기까지도 ‘수이’와 ‘쉬이’가 공존하였다. 20세기에 ‘수이’도 ‘쉬’로 축약되면서 ‘쉬’와 통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형태/이표기 쉬, 수, 쉬이, 수이, 쉬히, 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쉬, 수, 쉬이, 수이)
艱難  가 힘드 히 이셔 옷 밥 쉬 어드니만 몯다 다가 ≪1459 월석 13:12ㄴ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 미니라 ≪1446 훈언 3ㄴ
欲習 미치며 迷惑야 正受 쉬이 일니 ≪1461 능엄 6:89ㄱ
後世예 末學이 쇽졀업시 해 드로 잘카야 行實을 수이 일허 眞을 일흐며 ≪1461 능엄 1:94ㄱ
16세기 : (쉬이, 수이, 쉬)
劉公이 처믜 뎌 말믈 듣고  쉬이 너겨 더니 ≪1518 번소 10:25ㄴ
너브면 옷 지매 유여며  수이  거시어니와 ≪1510년대 번노 하:62ㄴ-63ㄱ
이러 詩 그 말미 간략고 기퍼 이젯 사미 아디 몯니 ≪1518 번소 6:7ㄴ
17세기 : (쉬이, 수이, 쉬)
하 든 노파 묻디 어렵거니와 사 든 늘구매 쉬이 슬프도다 ≪1632 두시-중 23:9ㄴ
방야 수이 나케  법이라 ≪1608 언태 31ㄱ
프른 것 거믄 거시 서 겸면 쳘니매 진고 ≪17세기 마경 상:29ㄴ
18세기 : (쉬이, 수이, 쉬)
젼후의 뫼혀 모의기 다소 비 쉬이 리오고 ≪1756 천의 2:50ㄱ
奢侈 이 수이 나고 ≪1737 어내 2:90ㄴ
이러 죄 명이 그 경즁을 라 그 나수 아사 진즉 죽고 ≪176 경신 6ㄱ
19세기 : (쉬이, 수이, 쉬, 쉬히)
쉬이 易 ≪1880 한불 437
노신이 만일 수이 쥭지 아니 면 ≪1852 태상 1:49ㄱ
수이 쉬히 易 ≪1880 한불 437
쉬 수이 쉬히 易 ≪1880 한불 437

관용구·속담(1)

속담쉬 더운 방[구들]이 쉬 식는다
힘이나 노력을 적게 들이고 빨리 해 버린 일은 그만큼 결과가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급히 더운 방이 쉬 식는다’ ‘쉽게 단 쇠가 쉽게 식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