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쉬ː

- 품사
- 「부사」
- 「004」‘쉬이’의 준말.
- 잠을 청하려 했으나 쉬 잠이 오지 않았다.
관련 어휘
- 본말
- 쉬이
역사 정보
쉬(15세기)>쉬이(15세기~19세기)>쉬(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쉬’의 옛말인 ‘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ㅸ’이 사라지면서 여러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ㅣ’ 모음 앞에 있는 ‘ㅸ’은 탈락되었다. 그리하여 15세기에 ‘쉬’와 함께 ‘쉬이’가 공존하게 된 것이다. 이후 16세기에 제1음절의 반모음 ‘ㅣ’[y]와 제2음절 모음 ‘ㅣ’가 축약되어 ‘쉬’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쉬’의 모음이 반모음 [y]가 결합한 이중모음 [uy]이었으나 근대국어 시기 이중모음의 성격이 변화하여 반모음 [w]가 결합한 이중모음 [wi]가 되었다. 즉 표기는 동일하나 중세국어 시기에는 [uy]로 발음되던 ‘쉬’가 근대국어 이후에 [wi]로 발음되는 ‘쉬’로 소리가 변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쉬’는 형용사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이다. 15세기에 ‘쉬’와 함께 ‘수’도 공존하였는데 ‘수’는 “易”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에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는 ‘쉬, 수’가 공존하였고, ‘ㅸ’이 탈락한 이후에는 19세기까지도 ‘수이’와 ‘쉬이’가 공존하였다. 20세기에 ‘수이’도 ‘쉬’로 축약되면서 ‘쉬’와 통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쉬, 수, 쉬이, 수이, 쉬히, 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쉬 더운 방[구들]이 쉬 식는다
- 힘이나 노력을 적게 들이고 빨리 해 버린 일은 그만큼 결과가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급히 더운 방이 쉬 식는다’ ‘쉽게 단 쇠가 쉽게 식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