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구

- 품사
- 「부사」
- 「001」몹시 세차게. 또는 아주 심하게.
- 마구 때리다.
- 마구 달리다.
- 눈물이 마구 쏟아진다.
- 비바람이 마구 몰아쳤다.
- 한 젊은 사내가 병원 입구를 향하여 마구 달렸다.
- 낯선 사람이 대문 안으로 들어오자 개가 마구 짖어 댔다.
- 외마디 소리를 지르면서 뒤로 자빠지다가 의자에 걸려 모로 뒹군다. 끈적끈적한 코 밑에 손을 댄다. 마구 코피가 흐른다.≪최인훈, 광장≫
- 얼마 동안 태유를 마구 짓뭉개며 욕지거리를 퍼붓던 그녀가 마침내 일어섰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외마디 소리를 지르면서 뒤로 자빠지다가 의자에 걸려 모로 뒹군다. 끈적끈적한 코 밑에 손을 댄다. 마구 코피가 흐른다.≪최인훈, 광장≫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마고(15세기~19세기)/마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구’의 옛말인 ‘마고’와 ‘마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마고’는 동사 ‘막-’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이고, ‘마구’는 ‘막-’에 부사 파생 접미사 ‘-우’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마고’가 주로 쓰였으며, 18세기 이후 ‘마구’가 점차로 확대되어 현재까지 쓰인다. ‘마고’와 ‘마구’는 중세 국어에서 동사 ‘막-’의 의미와 같이 “막아서, 막히게”의 의미를 가지던 부사였으나, 근대 국어 이후 현재와 같은 “함부로, 막”의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마고, 마구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