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맨매타다

- 활용
- 맷맷하여[맨매타여](맷맷해[맨매태]), 맷맷하니[맨매타니]
- 품사
- 「형용사」
- 「001」생김새가 매끈하게 곧고 길다.
- 다만 맷맷한 미루나무 숲에서 거칠어 가는 농촌을 읊는 듯 매미의 애끓는 노래….≪김유정, 소낙비≫
역사 정보
다(15세기)>맷맷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맷맷하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이 반복되어 합성된 ‘’에 접미사 ‘--’가 결합된 것이다. ‘다’와 음성 상징의 짝이 되는 ‘믯밎다’가 같은 시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믯믜즌 마치로 ≪1482 금삼 3:14ㄱ≫), ‘다’의 ‘’도 ‘*’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밋’으로 나타난 것은 중세 국어 시기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과 같은 8자음을 종성으로 쓸 수 있다는 원칙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표기에 ‘ᆞ’를 쓰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20세기에는 ‘맷맷하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은 ‘-’의 ‘--’가 ‘ㄱ,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던 당시의 표기 경향을 따라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 -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