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르다발음 듣기]
활용
말라[말라발음 듣기], 마르니[마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7」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감을 말라 버선을 짓다.
어머니는 저고리를 만들기 위해 조심스럽게 비단을 마르기 시작하셨다.
한국 옷은 치수를 정확히 재어 옷을 마르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맞추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르다(18세기)>마르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르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ㅇ-’로, 그외의 어미 앞에서는 ‘-’로 나타나는  불규칙 용언이다. 15세기 문헌에서는 ‘ㅇ-’의 예만 보이고 ‘-’의 예는 보이지 않지만, 16세기의 ‘다’를 통해 15세기에도 ‘-’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르다’가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 ‘마르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 후반의 ‘ㆍ’의 변화로 인해 ‘ㆍ’와 ‘ㅡ’의 혼동 표기가 나타났었는데, 19세기의 ‘마다’는 이러한 영향 때문에 ‘마르다’의 ‘ㅡ’를 ‘ㆍ’로 표기한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 ㅇ-, 르다, 마다, 마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ㅇ-)
雲霧를  화 님 오 라 ≪1481 두시-초 25:48ㄴ
 화 바 실 자최 업게 놋다 ≪1481 두시-초 25:50ㄱ-50ㄴ
16세기 : (-)
  ≪1527 훈몽 하:9ㄱ
 카온 갈히 되여 나못 그름제 고16세기 중엽 이후 백련-동 13ㄴ
17세기 : (-, -)
裁衣裳 옷 다1690 역해 하:6ㄱ
기 흰  뵈 고 자히기 指尺을 라 ≪1632 가언 1:37ㄱ
아 화 바 실 자최 업게 놋다 ≪1632 두시-중 25:50ㄴ
18세기 : (-, 르다)
양 옷과 치마 시고 나 깁을 니러 手巾과 요 라 ≪1737 어내 2:89ㄴ
裁紙 죠 르다1775 역보 11ㄴ
19세기 : (마다, 마르다)
마다 裁 ≪1880 한불 223
마를 재 裁 ≪1895 국한 10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