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수염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수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3」성숙한 남자의 입 주변이나 턱 또는 뺨에 나는 털.
수염이 나다.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르다.
수염을 깎다.
뾰족한 모자에 푸른 도포를 입은 양반이 한 손에 긴 담뱃대를 들고 나와 수염을 쓰다듬으며 위엄을 보인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수염을 늘어뜨린 노인이 담뱃대를 휘저으며 혀를 찼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김 첨지는 수염도 그리 없는 아래턱을 쓰다듬으며 큰기침을 한다.≪이기영, 고향≫
말을 할 때 무성한 수염에 덮인 노인의 입술은 다소 실룩거리는 것 같았다.≪박경리, 토지≫
문 의원은 묵직한 합죽선을 펴 들고 천천히 팔을 움직인다. 흰 수염과 갓끈이 부채 바람에 흔들리었다.≪박경리, 토지≫
잠시 뒤 그는 천천히 머리를 주억거렸다. 수염만 없다면 해골 같은 그의 얼굴이 울듯 일그러졌다.≪김원일, 불의 제전≫

관련 어휘

비슷한말
나룻
지역어(방언)
셈지(강원, 경남), 셰미(강원), 쇠미(강원), 쉐미(강원, 평안, 함경), 쉠지(강원, 경상, 중국 흑룡강성), 쉬에미(강원, 전라), (강원, 경남), (강원), (강원, 경남), 쐠지(강원), (강원), 쒜미(강원, 경북), (강원, 경상, 중국 흑룡강성), 쒬지(강원), (髥)(강원, 경기, 전남, 함남), 쉬엄(경기, 충북), 쉬엠(경기), 쉬염(경기, 전라, 충북), 쉬옴(경기, 전라), 시엄(경기, 충남), 시욤(경기, 전남), 쒸염(경기), 날구치(경남), 날굿(경남), 세암(경남), 세엄(경남), 세염(경남), (경남), 수에미(경남), (경남), 쉬임(경남), 시암(경남), 시엠(경남), 시염(경남, 전남), 쌔암(경남), 쎄염(경남), (경남), (경남), 쑤엠(경남), 쑤염(경남), (경남), (경남), (경남), 쓰음지(경남), 씀지(경남), 씨엄(경남, 전남), 씨엄지(경남), 씨엠(경남), 씨염(경남, 전남), 씨염-지(경남), 씨옘(경남), (경남), 씸지(경남), (경북), 쇄미(경북,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쉬미(경북, 함남), 시미(경북), 심지(경북), 쌤지(경북), 쐐미(경북, 중국 흑룡강성), 새미(경상), 새염(경상), (경상), 샘지(경상), 수엄(경상, 전남), (경상), 쌔미(경상), 쎄미(경상), 쎔지(경상), 쑤엄(경상, 중국 흑룡강성), 씨미(경상), 씨임지(경상), (전남), 수욤(전남), 쉬옘(전남), 쉬윰(전남), 위염(위髥)(전남), (전라, 충남), 수엠(전북), 수옘(전북), 쉬욈(전북), 우엄(전북), 위엄(전북), (충남), (충북), 소욤(충북), (충북), (충북), (함남), 수여미(함남), (함북), (함북)
옛말
입-거웆, 거웃

다중 매체 정보(1)

  • 수염

    수염

관용구·속담(4)

속담수염을 내리쓴다
남에게 마땅히 하여야 할 일도 하지 아니하고 모르는 체 시치미를 뚝 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수염의 불 끄듯
조금도 지체하지 못하고 황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수염이 대 자라도 먹는 게 땅수
수염이 대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의 북한 속담.
속담수염이 대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
배가 불러야 체면도 차릴 수 있다는 뜻으로, 먹는 것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룻이 석 자라도 먹어야 샌님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