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때ː다

- 활용
- 때어[때어](때[때ː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
- 「001」아궁이 따위에 불을 지피어 타게 하다.
- 아궁이에 장작을 때다.
- 방에 군불을 때다.
역사 정보
다히다(15세기)>히다(17세기~19세기)>때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때다’의 옛말인 ‘다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 이후 ‘다히다’는 제1음절 초성 ‘ㄷ’이 된소리화되어 ‘히다’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ㅼ’을 ‘ㄸ’으로 표기하고 제2음절 초성 ‘ㅎ’이 모음 사이에서 탈락한 뒤 음절이 줄어들면서 ‘때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대히다’는 ‘다히다’의 제1음절 모음 ‘ㅏ’가 후행하는 ‘ㅣ’의 영향으로 ‘ㅐ’로 변화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히다, 대히다, 히다, 때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