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드리켜다

- 활용
- 들이켜[드리켜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물이나 술 따위의 액체를 단숨에 마구 마시다.
- 그는 목이 마르다며 물을 벌컥벌컥 들이켰다.
- 잘도 못하는 술을 벌컥벌컥 몇 잔 거푸 들이켜고 나서 나는 볼품없이 남들보다 앞질러 취해 버렸다.≪윤흥길, 제식 훈련 변천 약사≫
- 질척한 부엌 바닥이 마땅치 않아 애꿎은 냉수만 한 쪽박 벌컥벌컥 들이켜고는 부엌을 나왔다.≪박완서, 미망≫
역사 정보
드리다(15세기)>드리혀다(15세기~17세기)>들이켜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들이켜다01’의 옛말인 ‘드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리다’는 “들어가다” 혹은 “들어오다”의 의미인 ‘들-’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드리’와 “당기다”의 의미인 ‘다’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중세 국어에서부터 ‘다’에서 발달한 강세접미사 ‘--’가 쓰이고 있었으므로, ‘드리다’가 “들어가다” 혹은 “들어오다”의 의미인 ‘들-’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드리’와 강세접미사 ‘--’의 결합으로 볼 수도 있다. ‘다’의 ‘ㆅ’은 ≪원각경언해≫(1465) 이후로 폐지되어 ‘ㅎ’으로 표기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드리혀다’는 이보다 좀 더 이른 시기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혀다’는 ‘켜다’로 변화하고, 분철 표기 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 ‘들이켜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드리다, 드리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