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새롭따발음 듣기]
활용
새로워[새로워발음 듣기], 새로우니[새로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지금까지 있은 적이 없다.
새로운 소식.
새로운 단계.
새로운 기술.
새로운 문물제도.
새로운 각오로 다시 도전하다.
백화점에서는 봄을 맞아 최신 상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약은 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넓은 세상을 구경해 보겠다고, 큰돈을 잡아 보겠다고 시골구석을 뜨는 게 해방 후의 새로운 풍조였다.≪박완서, 미망≫
술집을 벗어남으로써 숫처녀 같은 풋기로 새롭게 태어난 김부월이었다.≪윤흥길, 완장≫
지금은 신분의 구별 없이 많은 청소년들은 균등하게 새로운 학문의 혜택을 받고 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새롭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새롭다’는 15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 단어는 ‘새’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롭-’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소멸로 원래 ‘ㆍ’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이 ‘ㅏ’로 바뀌어 표기되자 이에 대해서 원래 ‘ㅏ’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도 ‘ㆍ’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롭다’는 이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새롭다, 롭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새롭다)
南陽ㅅ 氣運이 마 새롭도다 (司隷章初睹 南陽氣已新) ≪1481 두시-초 5:6ㄱ
16세기 : (새롭다)
湯의 盤ㅅ 銘애 오 진실로 나래 새롭거든 나날 새로이 고  날로 새로이 라 ≪1590 대언 4ㄴ
17세기 : (새롭다)
기리 宇宙로 여 새롭게 홀디니라 儉 德을 行호매 넘디 아니니 ≪1632 두시-중 5:14ㄴ
18세기 : (새롭다)
 쟈애 만일 다듬으며 새롭지 아니면 이 스로 림이오 ≪1746 자성 외:44ㄴ
19세기 : (새롭다, 롭다)
새로 새로이 新 새롭다 新 ≪1880 한불 367
허물을 곳쳐 스로 롭게 며 ≪1880 과화 5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