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새롭따

- 활용
- 새로워[새로워


- 품사
- 「형용사」
- 「001」지금까지 있은 적이 없다.
- 새로운 소식.
- 새로운 단계.
- 새로운 기술.
- 새로운 문물제도.
- 새로운 각오로 다시 도전하다.
- 백화점에서는 봄을 맞아 최신 상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약은 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 넓은 세상을 구경해 보겠다고, 큰돈을 잡아 보겠다고 시골구석을 뜨는 게 해방 후의 새로운 풍조였다.≪박완서, 미망≫
- 술집을 벗어남으로써 숫처녀 같은 풋기로 새롭게 태어난 김부월이었다.≪윤흥길, 완장≫
- 지금은 신분의 구별 없이 많은 청소년들은 균등하게 새로운 학문의 혜택을 받고 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새-룹다(강원, 충북), 쌔-롭다(경남)
역사 정보
새롭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새롭다’는 15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 단어는 ‘새’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롭-’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소멸로 원래 ‘ㆍ’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이 ‘ㅏ’로 바뀌어 표기되자 이에 대해서 원래 ‘ㅏ’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도 ‘ㆍ’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롭다’는 이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새롭다, 롭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