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두려타다]
- 활용
- 두렷하여[두려타여](두렷해[두려태]), 두렷하니[두려타니]
- 품사
- 「형용사」
- 「001」엉클어지거나 흐리지 아니하고 아주 분명하다. ‘뚜렷하다’보다 여린 느낌을 준다.
- 그렇게 살 속으로 스며든 어스름은 어둠으로 가라앉아 산의 몸을 묵묵히 채우니, 산은 하늘보다 더 먼저 두렷하게 검어진다.≪최명희, 혼불≫
역사 정보
두렫다(15세기~17세기)>두렷다(17세기~19세기)>두렷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두렷하다'의 옛말인 '두렫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렫다'는 의태어 '두렫'과 접미사 '--'가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렫'의 제1음절 모음 'ᅮ'가' ᅩ'로 나타나는 '도렫'이 15세기부터 '두렫'과 음성 상징의 짝을 이루고 있는 데다가, '두렫두렫다'와 같이 반복 합성어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17세기 이후 종성 'ᄃ'이 'ᄉ'으로 표기되는 경향에 따라 '두렷다'가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의 표기를 '하'로 표기한 '두렷하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도렫-'과 17세기의 '두렷-'은 종성 'ᄃ'과 종성 'ᄉ' 아래의 ''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탈락하였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17세기의 '둘엿-'는 '두렷-'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5세기의 '두렫다'는 "둥글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19세기 이후 현재의 의미와 같은 '뚜렷하다'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두렫'에서 파생된 '두려디'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뚜렷이"의 의미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두려디} 卓然 <1632 가언 1:46ㄱ>), 비슷한 시기에 '두렷다'도 "뚜렷하다"의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렫-, 두렫-, 두렷-, 두렷-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