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대ː다발음 듣기]
활용
대어[대어](대[대ː발음 듣기]), 대니[대ː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001」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다.
기차 시간에 대도록 서두르자.
운전사는 사장이 회의 시간에 수 있도록 지름길로 차를 몰았다.
나는 약속 시간에 대서 나왔는데 아무도 없었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대쿠다(강원), 다이다(제주)
옛말
다히다

역사 정보

다히다(15세기~19세기)>다이다(18세기~19세기)>대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대다’의 옛말인 ‘다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히다’는 동사 ‘닿-’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다히다’에서 모음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ㅎ’이 탈락한 ‘다이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다이다’가 ‘대다’로 축약한 후 근대국어 후기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현대 국어와 같은 ‘대다’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다히다, 다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히다)
부텻 소 손 자샤 걋 가매 다히시고 누 자리예 겨샤 合掌샤 ≪1459 월석 10:9ㄴ
 야 노 石壁에 다히고 막대 디퍼  횟도로라 ≪1481 두시-초 3:63ㄴ
올 엇게 메고 올 무룹 해 다혀 러 合掌야 ≪1459 월석 23:43ㄴ
16세기 : (다히다)
東녁 向야 셔셔 세 닐굽곰  니예 다히디 말라 ≪1525 간벽 18ㄴ
정명이 제 머리을 플어 엄의 머리에 다혀 그 니을 올마오게 더니 ≪1581 속삼-중 효:8ㄱ
17세기 : (다히다)
굽 귿  다히 이 바당 알이오 ≪17세기 마언 상:75ㄴ≫
 야 노 石壁에 다히고 막대 디퍼 장 횟도로라 ≪1632 두시-중 3:63ㄴ
埠頭  다혀 흥졍  ≪1690 역해 상:7ㄱ
18세기 : (다히다, 다이다)
櫳那岸  져 편의 다히다 櫳這岸  이 편의 다히다1748 동해 하:18ㄴ
과연  사이 포쟝의 귀를 다혀 댱 여어 듯다 ≪1777 명의 권수상:46ㄱ
襯衣 살에 다여 닙 옷 ≪1778 방유 유부방언:23ㄱ
19세기 : (다히다, 다이다)
나 붓잡고 귀에 다히고 말 ≪1894 천로 86ㄴ
다일 박 泊 ≪1895 국한 6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