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대나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대’의 줄기가 단단하고 긴 것을 나무로 보아 이르는 말이다.
대나무로 만든 갈퀴.
대나무로 엮은 사립문.
일본 놈들이 그랬듯이 예리한 대나무 꼬챙이로 손톱 밑을 찔러 댔을지도 모른다.≪안정효, 하얀 전쟁≫
양치질을 하는 동안 환이는 수수깡, 대나무 등이 드러난 흙벽을 바라보고 서 있었다.≪박경리, 토지, 솔 출판사, 1994년≫
낚싯대라 해 봤자 대나무 말린 것으로 내 것의 절반 크기였고 채비도 보아하니 납봉 하나에 낚시 하나, 그야말로 원시적인 수준이었다.≪한창훈,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창작과 비평사, 2003년≫
왕우럭은 국거리로 그저 그만이었기 때문에 어머니를 생각하며 소년은 고기의 입질에 온 신경을 집중하고 있었다. 대나무 낚싯대가 부러질 듯 휘어졌다.≪김원두, 어느 개의 인간적인 추억, 솔 출판사, 1994년≫
젊은이는 어떻게 강을 건너야 할지 모르고 있는데 흰 개를 따라가니 강가에 기다란 대나무 장대가 강 이쪽 언덕에서 저쪽 언덕으로 걸쳐져 있었습니다.≪이원수 외, 한국 전래 동화집, 창작과 비평사, 1980년≫
이 정자 주위엔 대나무가 빼곡히 들어서 있어서 밖에서 잘 들여다뵈지도 않았다.≪정한숙, 고가 한국 단편 문학 대계, 삼성 출판사, 1969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대나모(15세기)>대나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대나무’의 옛말인 ‘대나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대나모’는 ‘대’와 “나무”의 의미인 ‘나모’가 결합한 것이다. ‘나모’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조사 ‘-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나모’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이 같은 이형태 교체는 17세기 이후에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는데, 19세기까지는 여전히 ‘’의 예도 나타나고 있다. 18세기의 ‘대’은 ‘나모’의 이러한 이형태 교체를 반영한 형태이다. ‘나모’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ㅜ’로 바뀐 ‘나무’ 형태는 16세기부터 등장하지만 19세기까지는 ‘나모’와 ‘나무’ 두 형태가 공존하였다. ‘대나모’의 경우 15세기 이후에는 ‘대’의 예만 확인되므로, 언제부터 ‘대나무’가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나모’가 ‘나무’로 변화한 시기와 비슷하게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세기 이후에는 ‘대나무’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대나모, 대
세기별 용례
15세기 : (대나모)
대나모 가 드닐 조쳐 고티니라 ≪1466 구방 하:4ㄴ
대나못 가 해 들어든 地黃 므르 시버 마고 브티면 즉재 나니라 ≪1466 구방 하:6ㄱ
18세기 : (대)
두 농뷔 큰 대남그로 메여 고을에 드러왓다 거 ≪1758 종덕 하:42ㄴ

다중 매체 정보(1)

  • 대나무

    대나무

관용구·속담(2)

속담대나무 그루에선 대나무가 난다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대 끝에서 대가 나고 싸리 끝에서 싸리가 난다’ ‘대나무에서 대 난다’ ‘대 뿌리에서 대가 난다’ ‘배나무에 배 열리지 감 안 열린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오이씨에서 오이 나오고 콩에서 콩 나온다’ ‘왕대밭에 왕대 난다’ ‘콩 날 데 콩 나고 팥 날 데 팥 난다’ ‘콩에서 콩 나고 팥에서 팥 난다’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속담대나무에서 대 난다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대 끝에서 대가 나고 싸리 끝에서 싸리가 난다’ ‘대나무 그루에선 대나무가 난다’ ‘대 뿌리에서 대가 난다’ ‘배나무에 배 열리지 감 안 열린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오이씨에서 오이 나오고 콩에서 콩 나온다’ ‘왕대밭에 왕대 난다’ ‘콩 날 데 콩 나고 팥 날 데 팥 난다’ ‘콩에서 콩 나고 팥에서 팥 난다’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