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붇ː따발음 듣기]
활용
부어[부어], 부으니[부으니], 붓는[분ː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을】
「003」액체나 가루 따위를 다른 곳에 담다.
자루에 밀가루를 붓다.
가마솥에 물을 붓다.
어머니는 냄비에 물을 붓고 끓였다.
머쓱해진 주모가 우선 막걸리를 큼지막한 사발에다 가득히 붓고 군내 나는 묵은 김치보시기를 갖다 놓고 나서 요란한 도마 소리를 냈다.≪박완서, 미망≫
그는 끓는 물에 보리를 붓고 그 위에 쌀을 얹었다.≪이정환, 샛강≫
장독대 옆에 깔아 놓은 멍석에 자명은 이고 온 고추를 붓는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븟다(15세기~18세기)>붓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붓다’의 옛말인 ‘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븟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븟-’으로,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나타나 ‘븟-/-’의 교체를 보였다. 16세기 이후로 ‘ㅿ’이 사라지면서 ‘브며, 브’ 등이 ‘브으며, 브어’로 변화하여 이 단어는 ‘븟-/브-’의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ㅅ’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17세기에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 ‘븟다’는 ‘붓다’로 변화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븟-, -, 브-, 붓-, 부-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븟-, -)
보옛 오로 모매 감고 여러 가짓 香油를 븟고 神通力願으로 모 제 니 ≪1447 석상 20:10ㄱ
諸天이 와 내 머리예 므를 브리라 니 ≪1447 석상 24:12ㄴ
汲은 믈 기를 씨오 灌 믈 브 씨라 ≪1459 월석 23:94ㄴ
甘露法雨를 브 煩惱 브를 니 ≪1447 석상 21:15ㄱ
16세기 : (븟-, -, 브-)
됴 수울 서되 그 우희 븟고 그 올 원으로 빌라 ≪1578 간벽 3ㄱ
돋과 개과 서 뎐염병을 고툐 술의 샤향을 죠고매 프러 이베 브라1514 우마 5ㄴ
브 주 ≪1527 훈몽 하:5ㄴ
斟 술 브 침 酌 술 브 쟉 ≪1576 신합 하:40ㄱ
믈  사발 브 달히니 닐굽 분이어든 즈 업게 고 ≪1578 간벽 6ㄴ
 두 되 더운 므레 저쳐 그 즙을 가져다가 이베 브으라1541 우마 2ㄱ
브을 주 ≪1576 신합 하:1ㄱ
17세기 : (븟-, 브-, 붓-)
일 번 글흔 믈을 븟고 두에 다다 둣다가 믜근거든 ≪1608 언두 상:66ㄱ
믈 여 되 브어 달혀 콩이 닉거든 날마다 그믈을 머기고 콩도 머기라 ≪1608 언두 상:8ㄱ
告者ㅣ 술 붓고 쥬注 도로 주고 盞을 가져 神位 前의 酹고 ≪1632 가언 7:19ㄴ
술 이 붓다1690 역해 상:59ㄱ
18세기 : (븟-, 브-, 붓-, 부-)
가마 긁싯고 블 더 덥거든 半 盞 기름을 븟고 기름이 잇것 닉기 기려 고기 녓코 ≪1763 노신 1:27ㄱ
公이 술을  브으니 히 부프러 오고 고기 개 주니 ≪1737 어내 서:4ㄴ
注水 믈 붓다1790 몽해 상:7ㄱ
공이 샹고야 보고 술을 가져  부어 오다 ≪1758 종덕 하:56ㄴ
19세기 : (붓-, 부-)
붓다 注 ≪1880 한불 25
물을 려 졋의 부으니 그 혹이 불인견이라 ≪1852 태상 2:76ㄱ

다중 매체 정보(1)

  • 붓다
    붓다

    붓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