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달리다발음 듣기]
활용
달리어[달리어발음 듣기/달리여발음 듣기](달려[달려]), 달리니[달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15」빨리 뛰어가게 하다. ‘닫다’의 사동사.
말을 달리다.
송당은 의아하여 말을 달려 가까이 가 보니 보지 못하던 아름다운 여자다.≪박종화, 금삼의 피≫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7세기)>리다(16세기~18세기)>달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달리다01’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ㄹ’이 추가된 ‘리-’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부터 ‘달리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니다’는 ‘리다’의 어중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된 것이다. 19세기의 ‘달니다’는 ‘달리다’의 어중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이다, 리다, 니다, 달리다, 달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다)
背馳 뒤도라 일 씨라 ≪1463 법화 3:180ㄱ
行幸 겨신  묻고  여 承明殿을 向야 가놋다 ≪1481 두시-초 8:16ㄱ
16세기 : (이다, 리다)
그 도기 셧녁으로  여 니거늘 ≪1510년대 번노 상:30ㄱ
淮水ㅣ 桐栢山의 나셔 동녘크로 리기를 아라이 야 ≪1588 소언 6:91ㄱ
17세기 : (이다, 리다, 니다)
엇뎨 구틔여  여 와 무르리오 ≪1632 두시-중 3:53ㄴ
개명을 니어 역마 려 베퍼 닐오려 야 ≪1617 동신속 충1:20ㄴ≫
그 도적이 西로 향여  려 가니라 ≪1670 노언 상:27ㄱ
다 기 고로 홈을 일흐며 니기 넘우 급히 며 ≪17세기 마경 하:73ㄴ
18세기 : (리다, 니다)
그 盜賊이  軍士 쏘와 게 르치고 西로 向여 려 逃亡니라 ≪1765 청노 2:18ㄱ
拍馬  채려 리다 放馬  노하 리다1748 동해 하:37ㄴ
을 녀 原地로 도라가라 ≪1790 무예 10ㄱ
19세기 : (달리다, 달니다)
우리 압셔 셔운 길 참음으로 달리니1887 성전 히브리서 12:1
황의 집  거마 모라 어로의 달니거1852 태상 5:59ㄱ

관용구·속담(1)

속담달리는 말에 채찍질
기세가 한창 좋을 때 더 힘을 가한다는 말. <동의 속담> ‘닫는 말에도 채를 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