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달리다

- 활용
- 달리어[달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15」빨리 뛰어가게 하다. ‘닫다’의 사동사.
- 말을 달리다.
- 송당은 의아하여 말을 달려 가까이 가 보니 보지 못하던 아름다운 여자다.≪박종화, 금삼의 피≫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다말다(경남), 달구다(경북), 달기다(경상, 함북), 달비다(전남), 쏘아-가다(전남), 단발-지다(전라), 다불리다(제주), 닳다(함경, 중국 길림성), 달르다(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이다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7세기)>리다(16세기~18세기)>달리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리다01’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ㄹ’이 추가된 ‘리-’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부터 ‘달리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니다’는 ‘리다’의 어중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된 것이다. 19세기의 ‘달니다’는 ‘달리다’의 어중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이다, 리다, 니다, 달리다, 달니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달리는 말에 채찍질
- 기세가 한창 좋을 때 더 힘을 가한다는 말. <동의 속담> ‘닫는 말에도 채를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