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뿔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소, 염소, 사슴 따위의 머리에 솟은 단단하고 뾰족한 구조. 동물이 자위(自衛)와 투쟁에 쓰는 중요한 무기인데 여러 가지 공예재나 약재로도 쓴다.
- 뿔이 돋다.
- 뿔을 자르다.
- 뿔로 받다.
- 뿔에 받히다.
- 아치골댁이 몸살 앓듯 떨며 중언부언 되뇌자, 뿔 달린 염라대왕이 권세 높은 의자에서 벌떡 일어서며 불호령을 내렸다.≪김원일, 불의 제전≫
- 한 개의 뿔 조각에 지나지 못하는 것이 이 학사의 십 년 전 원수를 갚아 준 것이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 미명 속에서도 예리한 뿔과 흉측한 혹들이 무수히 돋아나 있는 게 너무나 잘 보였다.≪이동하, 도시의 늪≫
- 그러고는 엄지손가락으로 뿔을 만들어 보이며 하얀 이빨을 드러내면서 씩 웃어 보였다.≪서정인, 후송≫
- 지혜는 섬으로 가 보고 싶었다. 물속에 잠긴 섬의 모습이 보이는 듯했다. 뿔이 달린 뱀들이 물속을 휘젓고 다녔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사내는 소를 무척 좋아했고, 소도 사내를 뿔로 받거나 하지 않고 순하게 눈을 뜨고 엉성하게 먹어 놓은 걸 차분히 반추하는 것이었다.≪이정환, 샛강≫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18세기~19세기)>뿔(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뿔’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의 ‘ㅽ’의 음가에 대하여 15세기에는 ‘ㅅ’, ‘ㅂ’이 모두 발음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ㅂ’의 된소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렇지만 16세기 이후의 ‘ㅽ’은 ‘ㅂ’의 된소리로 발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은 18세기까지 이어지다가, 17세기 이후 양순음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에 의해 ‘’로 변하였다. 18세기 말 이후 ‘ㅂ’의 된소리를 오늘날과 같이 ‘ㅃ’으로 표기하기 시작하였는데, ‘뿔’의 경우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 , 뿔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관용구·속담(3)
- 속담뿔 떨어지면 구워 먹지
- 든든히 붙어 있는 뿔이 떨어지면 구워 먹겠다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바라고 기다림을 비웃는 말.
- 속담뿔 빠진 암소 (같다)
- 중요한 것을 빼앗긴 것같이 그 꼴이 보잘것없고 힘도 쓰지 못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꽁지 없는 소’
- 속담뿔 뺀 쇠 상이라
- 뿔을 빼 버린 소의 모양이라는 뜻으로, 지위는 있어도 세력을 잃은 처지를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