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붇짭따

- 활용
- 붙잡아[붇짜바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놓치지 않도록 단단히 쥐다.
- 소매를 붙잡다.
- 그는 한 손으로 바지춤을 붙잡은 채 어정쩡하게 서 있었다.
- 넘어진 아이는 난간을 붙잡고 일어났다.
- 영감은 무슨 비밀히 할 얘기가 있다는 얼굴로 그의 한 팔을 붙잡고 그를 복덕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갔다.≪김승옥, 차나 한 잔≫
- 그녀는 아이들의 책상 하나를 끌어다 놓고 역시 나의 두 손을 붙잡아 거기에 앉히며 자기도 맞은 편 책상 위에 걸터앉았다.≪박경수, 동토≫
역사 정보
븓잡다(15세기)>븟잡다(17세기~18세기)>붓잡다(18세기~19세기)>붙잡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붙잡다’의 옛말인 ‘븓잡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붙다”의 뜻인 ‘븓-’과 ‘잡다’가 결합한 것이다. ‘븓-’은 근대 국어 시기에 ‘ㅂ’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붇-’이 되었으며 20세기에 맞춤법에 따라서 ‘붙-’으로 표기되었다. 문헌상에는 17세기에 ‘븓잡다’와 함께 ‘븟잡다’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근대 국어 시기에 ‘ㄷ’과 ‘ㅅ’ 받침이 표기상 혼용되었던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18~19세기에는 ‘븟잡다’가 원순 모음화 된 표기인 ‘붓잡다’가 보이는데 받침의 표기는 ‘ㅅ’으로 되어 있지만 이 형태에서 현대의 ‘붙잡다’로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븓잡다, 븟잡다, 붓잡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