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빨다

- 활용
- 빨아[빠라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입을 대고 입속으로 당겨 들어오게 하다.
- 곰방대를 빨다.
- 빨대로 주스를 빨다.
- 아기가 젖을 빨다.
- 나비가 꿀을 빨다.
- 서너 모금 뻐끔뻐끔 빠니 불은 담배에 옮아 붙는다.≪김남천, 대하≫
- 이주호는 한숨을 쉬며 한참 동안 장죽만 빨았다.≪송기숙, 녹두 장군≫
- 그는 소주를 빨면서 낯을 찡그렸다.≪이문희, 흑맥≫
- 재영이는 갈대를 통하여 약을 빨아 먹었다.≪한수산, 부초≫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9세기)>빨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빨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8세기까지 쓰이다가 ‘ㅽ’이 ‘ㅃ’으로 표기된 ‘다’로 쓰인 용례가 17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근대 국어 에는 ‘ㆍ’의 음가 소실로 ‘ㆍ’의 표기가 문란해졌으므로 19세기에도 ‘빨다’가 쓰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