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끄럽따발음 듣기]
활용
부끄러워[부끄러워발음 듣기], 부끄러우니[부끄러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형용사」 【…이】【-기가】
「001」일을 잘 못하거나 양심에 거리끼어 볼 낯이 없거나 매우 떳떳하지 못하다.
나는 거짓말을 한 내 자신이 부끄럽다.
남의 것을 넘보다니 부끄러운 줄 알아라.
난 전부터 생각한 일인데 사람은 왜 남녀 간의 그런 일이라면 공연히 부끄러운 것으로만 치는지 알 수 없소.≪장용학, 원형의 전설≫
보통 사람이면 누구나 감추고 숨기는 부끄러운 과거라도 기범은 가까운 친구에게는 낄낄 웃으며 거침없이 털어놓는 것이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끝순이는 자신의 초라함과 만화의 도도한 모습이 자꾸만 비교가 되는지, 약간은 서먹하고 부끄러운 듯한 미소를 어색하게 보이며, 손으로 헝클어진 머리를 매만지고….≪문순태, 피아골≫
이방언은 대원군의 말을 듣고 보니 여태까지 자기 생각이 너무 좁았던 것 같아 좀 부끄러운 생각이 들기도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부질없이 달떠 있었기 때문에 규서 따위가 넘볼 수 있었다는 게 우선 부끄러웠고, 외도에서 돌아온 것처럼 질정이 되었다.≪박완서, 미망≫
자식 놈이 못된 일만 저질러서 동네 사람들 보기가 부끄럽다.
이 얼굴을 가지고는 백주에는 나다니기가 스스로 부끄러울 것이다.≪김동인, 광화사≫

역사 정보

븟그다(15세기~19세기)>붓그럽다(15세기~19세기)>붓럽다(16세기~19세기)>부끄럽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끄럽다’의 옛말인 ‘븟그럽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븟그-’은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븟그러우-’로 나타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어간말 자음 ‘ㅸ’이 ‘ㅂ’과 중화되어 ‘븟그럽도다’와 같이 나타나 ‘븟그러우-/븟그럽-’의 교체를 보였다. ‘븟그러우-’는 본래 ‘븟그-’에서 ‘ㅸ’이 사라지면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ㅸ’이 ‘ㅜ’로 바뀌어 1460년대 문헌부터 ‘븟그러우-’로 나타난 것이다. 그리하여 1460년대 이전에는 규칙 용언이던 것이 1460년대 이후에는 ‘븟그럽-/븟그러우-’의 교체를 보이는 ‘ㅂ’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근대국어 시기에 ‘ㅁ, ㅂ, ㅍ’ 아래에서 ‘ㅡ’ 모음이 ‘ㅜ’ 모음으로 변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났는데, ‘븟그럽다’에서 제1음절 모음 ‘ㅡ’가 ‘ㅜ’로 바뀐 ‘붓그럽다’는 15세기부터 ‘븟그럽다’와 공존하였다. 16세기에 제1음절 말음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ㄷ’의 영향으로 제2음절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변하여 ‘붓럽다’가 되었다. 이후 19세기에 ‘ㄱ’의 된소리 표기가 ‘ㅺ’에서 ‘ㄲ’으로 바뀌면서 현대 국어의 ‘부끄럽다’가 되었다.
‘붓그럽다’는 동사 ‘붓그리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이 결합하여 형성된 파생어이다. 근대국어 이후 동사인 ‘붓그리다’는 소멸하고 동사에서 파생된 형용사만 남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븟그럽-, 븟그러오-, 붓그럽-, 븟럽-, 븟러오-, 붓그-, 붓그러우-, 붓그러오-, 붓럽-, 붓러우-, 붇그럽-, 붇그러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븟그럽-, 븟그러우-, 붓그럽-, 붓그-, 붓그러우-)
가온론 四恩을 지니 眞實로 븟그럽도다1464 영가 상:26ㄱ
眞實로 四恩 기피 지니 븟그러우미 더움 업스니라 ≪1464 영가 상:26ㄱ
얼며 주류믈  보 足히 붓그럽디 아니니 ≪1481 두시-초 3:50ㄱ
이 사 질쌈야 뵈  옷 라 붓그러  가리오니다 ≪1459 월석 22:26ㄱ
치 뷔면 붓그러울가 저허  낫 도 머믈워 두고 보노라 ≪1481 두시-초 3:25ㄱ
16세기 : (붓그럽-, 붓그러우-, 붓그러오-, 붓럽-)
 돗긔 나갈 저긔 거을 붓그럽게 말며 ≪1518 번소 3:27ㄴ
쟝 돗긔 나아갈 용모 붓럽게 말며 ≪1588 소언 2:59ㄴ
진실로 부의 과 긔우니 이슐딘댄 히 붓그러우미 업스려 ≪1518 번소 7:33ㄴ
너희 붓그러오며 왼 일 멀에 호 警戒노니 ≪1518 번소 6:22ㄴ
17세기 : (븟그럽-, 븟그러오-, 븟러오-, 붓그럽-, 붓그러우-, 붓그러오-)
王子 表 發揮호매 史臣의 말매 븟그럽디 아니토다 ≪1632 두시-중 24:51ㄴ
니며 비러 어더먹기 비록 븟그러온 나 내 참혹 화환이 업거니와 ≪1658 경민-개 16ㄱ
알고도 無道히 된 仕合 븟러오미 海山 티 너기농이다 ≪1676 첩신-초 9:13ㄱ
얼며 주류믈 장 보 足히 붓그럽디 아니니 ≪1632 두시-중 3:50ㄱ
버지 와 무로매 내 치 붓그러우니 도랏 딥고 고파 니러 죵 븟들요라 ≪1632 두시-중 3:53ㄱ
비 밧오며 들 슌죵호미 녯사름의게 붓그러옴이 업더라 ≪1617 동신속 효7:1ㄴ≫
18세기 : (븟그럽-, 븟그러오-, 븟럽-, 븟러오-, 붓그럽-, 붓그러우-, 붓그러오-, 붇그럽-, 붇그러오-)
거의 간관 죽인 일홈을 어들띠니 가히 븟그럽지 아니며 가히 구연치 아니랴 ≪1746 자성 외:33ㄱ
갓 오날 스로 븟그러올 분 아니라  엇디 후셰예 뵈리오 ≪1765 경세 12ㄴ
셔방마자 사의 안해 되매 門風을 븟럽고 辱도이 며 ≪1737 여사 2:5ㄱ
잘 지 못고 알고도 無道히 된 仕合 븟러오미 海山티 너기농이다 ≪1748 첩신-개 9:18ㄴ
너희 의 홀연이 각면  붓그럽지 아니랴 ≪1762 어경 3ㄴ
어디디 아니 일을 홈애 父母 붓그러우며 辱을 기팀을 각야 반시 결단히 아니홀니라 ≪1737 어내 1:47ㄴ
진실로 丈夫의 과 긔운을 둣 者대 能히 붓그러옴이 업스랴 ≪1737 어내 1:66ㄴ
네 집에 이심을 相혼  오히려 屋漏에 붇그럽디 아니타 며 ≪1737 여사 3:35ㄱ
主人의 의도 과연 다 오나 다만 대졉올 꺼시 업와 이런 붇그러온 일이 업외 ≪1790 인어 2:7ㄱ
19세기 : (븟그러우-, 븟그러오-, 붓그럽-, 붓그러우-, 붓그러오-)
이 인의로 셔로 밋브게 야 져마다 븟그러워 가다드믈 쥴 알 거시오 ≪1883 이언 4:48ㄴ
당도지인의 의향을 맛쵸기를 븟그러이 너겨 ≪1883 이언 2:52ㄱ
챡 일을  홀노 도 니불니 붓그럽지 안니고 ≪1880 삼성 13ㄴ
붓그러울 치 恥 羞愧 騂汗, 붓그러울 수 羞 ≪1895 국한 155
음의 붓그러오미 업스면 신명에도 붓그러오미 업슬 것시오 ≪1880 과화 04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