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내일

- 품사
- 「부사」
- 「003」오늘의 바로 다음 날에.
- 그럼 내일 봅시다.
- 오늘은 이만하고 내일 다시 시작합시다.
- 우리 집은 내일 이사 간다.
- 검사 결과는 내일 나올 것입니다.
- 큰아들이 내일 제대한다.
- 그럼 내일 다시 오겠습니다.
- 일찍 자 두게. 내일 나하고 아침 일찍 정찰을 좀 나가야 할 테니깐.≪김원일, 불의 제전≫
- 한시가 급하구나. 내일 날이 밝자마자 길을 떠나도록 하자.≪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 그러면 내일 늦은 저녁 때 꼭 백성의 옷을 입으시고 기다려 주십시오.≪박종화, 임진왜란≫
- 차가 집까지 다 왔기 때문에 내일 다시 그 일을 의논하기로 하고 각각 제 방으로 갔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오늘은 이왕 늦었으니 내일 가겠소.≪이병주, 행복어 사전≫
- 당장 내일 민군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겠소.≪송기숙, 녹두 장군≫
- 거기 가서 오늘 저녁 우리들이 앞으로 취할 바 조치를 의논하여 내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됐어, 그만들 해. 죽었는지 살았는지는 내일 알게 될 거고, 만일 죽었다 하더라도 성일이 넌 걱정할 거 하나도 없어.≪조정래, 태백산맥≫
- "오늘 돈이 없는 사람은 내일 가져오는 게 어떻습니까?”≪전상국, 우상의 눈물≫
- “언니, 어머니가 좀 편찮으시다 해서 토요일만 까먹고 내려갔다 오겠어요. 내일 돌아오겠습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일(16세기~19세기)>내일(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내일’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은 한자어 ‘래일(來日)’의 한글 표기이다. 16세기에 ‘ㅿ’의 소실되어 ‘일’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에는 ‘내일’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에 ‘’과 함께 ‘’도 나타나며, 17세기의 ‘일’은 ‘’에서 ‘ㅿ’이 탈락한 표기이다. 16세기의 ‘’은 ‘’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표기이며, 18세기의 ‘일’은 ‘’에서 ‘ㅿ’이 탈락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 , , 일, 일, 일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