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내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시내보다는 크지만 강보다는 작은 물줄기.
내가 흐르다.
내를 건너다.
도랑이 모여 내를 이루고 내가 모여 강을 이룬다.

역사 정보

냏(15세기~18세기)>내(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내’는 15세기 문헌에서 ‘냏’으로 나타난다. ‘냏/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ㅎ종성체언은 대개 ㅎ이 탈락한 형태로 변화하였는데, ‘냏/내’ 역시 19세기 이후 ‘ㅎ’이 탈락한 ‘내’ 형태로 단일화하였다. 한편 18세기 이래로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져서 표기의 혼란이 일어나면서 ‘’와 같은 표기도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냏, 내, , 
세기별 용례
15세기 : (냏, 내)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1447 용가 3
뫼히며 수프리며 내히며 미며 모시며 미며 우므리 現야 사 利益긔 야 ≪1447 석상 11:7ㄱ
돌 서르 버므러 챗고 내햇 구루믄 절로 가락 머믈락 놋다 ≪1481 두시 9:35ㄱ≫
구룸 올옴과 새 롬과  뮈윰과 드틀 니룸과 나모와 뫼콰 내콰 프귀와 사과 괘 다 物이라 ≪1461 능엄 2:34ㄴ
여듧 道士ㅣ 막다히 딥고 뫼토 나며 내토 걷나 葉波國에 가 ≪1459 월석 20:64ㄱ
兵馬ㅅ 氣運이 수플와 뫼해 폣니 비치 鋒鏑과 섯겟도다 ≪1481 두시 7:25ㄱ≫
16세기 : (냏, 내)
마초아 집 앏 내해 믈 니엿더니 梁氏 믄득 며 들어늘 ≪1514 속삼 열:18ㄱ
둘재 므리니 믈와 비와 이슬와 내콰 믈괘오 ≪1569 칠대 3ㄱ
쳔 溪 시내 계 ≪1527 훈몽 상:2ㄴ
빗난 산 안햇 고 일퍼 도로 몬져 디고 더듼  소 덤츠러 늣도록 퍼러호 머굼엇니라 ≪1518 번소 6:28ㄱ
17세기 : (냏, 내)
내 니르러 스스로 뎌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5:56ㄴ≫
기리 奧區와 다 구더시리로소니 내콰 두듥괘 어즈러이 아라 얫도다 ≪1632 두시-중 6:18ㄴ
길헤 과 왜 니으니 다 鳳凰이 료미 맛당도다 ≪1632 두시-중 23:13ㄱ
18세기 : (냏, 내, )
버들 만쥬 심거 버들 내흘 니 사이 그 니을 힘닙더라 ≪1758 종덕 중:19ㄱ
쳔 川 ≪1781 왜해 상:9ㄱ
셩의 입 마그미 물 막기예셔 심니 ≪1772 사략 1:58ㄱ≫
19세기 : (내, )
가죡을 벗기고 살을 깍그니 뼈ㅣ 드러나고 피 흘너 내 일운지라 ≪1865 주년 102ㄱ
川 ≪1880 한불 271

관용구·속담(2)

속담내 건너 배 타기
무슨 일에나 순서가 있어 건너뛰어서는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루 건너 배 타기
속담내를 건너서 지팡이 추수하고 나서 자루
요긴하게 쓰일 때가 지난 물건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