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꾸중

- 품사
- 「명사」
- 「001」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
- 꾸중이 내리다.
- 부모님께 꾸중을 듣다.
역사 정보
구(15세기)>숑(16세기)/구죵(16세기)>꾸즁(18세기)>꾸중(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꾸중’의 옛말인 ‘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와서 ‘숑’과 ‘구죵’이 공존한다. ‘숑’은 어두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가 되는 어두 된소리화를 겪고, 종성의 ‘ㆁ’이 ‘ㅇ’으로 표기가 변화한 것이다. ‘구죵’은 제2음절의 초성인 ‘ㅅ’이 ‘ㅈ’으로 변화한 것이다. 18세기에 ‘ㄱ’의 어두 된소리화와 ‘ㅅ>ㅈ’의 변화가 모두 반영된 ‘꾸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쥬’와 ‘주’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어 ‘꾸중’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구, 숑, 구죵, 꾸즁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