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불꼳

- 활용
- 불꽃이[불꼬치


- 품사
- 「명사」
- 「001」타는 불에서 일어나는 붉은빛을 띤 기운.
- 불꽃이 일다.
- 어디선가 불어오는 바람에 불꽃이 연방 흔들렸다.
역사 정보
븘곶(15세기)>블곳(16세기~17세기)>블(18세기)>불꼿ㅊ(19세기)>불꽃(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불꽃’의 옛말인 ‘븘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불”의 뜻인 ‘블’과 속격 조사 ‘ㅅ’이 결합한 ‘븘’과 “꽃”의 의미인 ‘곶’이 결합한 것이다. ‘블’은 근대 국어 시기 ‘ㅂ’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불’이 되었으며, ‘곶’은 근대 국어 후기 어두 자음이 경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ㄲ’이 되었다. 받침 ‘ㅊ’은 현대의 맞춤법 표기에 따른 것이다. 16세기 문헌에 보이는 ‘블곳’은 15세기의 ‘븘곶’에서 속격 조사 ‘ㅅ’이 표기되지 않았으며 ‘곶’의 받침 ‘ㅈ’이 ‘ㅅ’으로 간략하게 쓰인 표기이다. ‘븟곳’은 ‘블곳’의 받침 ‘ㄹ’을 ‘ㅅ’이 대체하는 현상인데 16세기부터 근대 국어까지 종종 보이는 현상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곳’이 경음화한 ‘’의 표기가 등장하여 ‘블, 불’이 쓰였는데 ‘불’은 원순 모음화 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은 중철 표기된 ‘ㅊ’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불ㅊ, 불꼿ㅊ’이 쓰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븘곶, 블곳, 븟곳, 블, 불, 불ㅊ, 불곳, 불꼿ㅊ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