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보드랍따발음 듣기]
활용
보드라워[보드라워발음 듣기], 보드라우니[보드라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닿거나 스치는 느낌이 거칠거나 빳빳하지 않다.
보드라운 피부.
보드라운 머릿결.
보드라운 감촉.
보드라운 뺨.
촉감이 보드랍다.
그는 보드라운 잔디에 엉덩이를 붙이며 다리도 뻗었다.≪이문구, 장한몽≫
콩잎도 깻잎도 그녀는 보드라운 때를 놓치지 않고 따서 된장에 박아 밑반찬을 만들었다.≪한무숙, 만남≫
향기를 품은 보드라운 바람이 이따금씩 볼을 스쳐간다.≪김유정, 야앵≫
연산은 벌떡 일어나 최보비의 손을 덥석 쥐었다. 하얗고 보드라운 손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역사 정보

보랍다(15세기~18세기)>보드랍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보드랍다’의 옛말인 ‘보랍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보랍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어간이 ‘보-’으로 교체되었는데, 15세기 중반 이후에 ‘ㅸ’이 반모음 [w]로 바뀌면서 ‘보-’은 ‘보라오-’로 바뀌었다. 16세기 이후에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7세기에는 ‘보드랍-/보드라오-’가 되었는데, 문헌상으로 는 17, 18세기에 ‘보드라오-’의 예만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보랍-/보-, 보라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보랍-, 보-, 보라오-)
尊者  端正고 히 보랍거시 나  덧굿고 히 세요다 ≪1447 석상 24:34ㄴ-35ㄱ
如來 種種로 야 諸法을 工巧히 닐오 말미 보라 모  즐기긔 니 ≪1447 석상 13:40ㄱ
如來ㅣ 能히 種種로 야 諸法을 工巧히 니니 말미 보라와 모 매 깃브니라 ≪1463 법화 1:143ㄴ
16세기 : (보라오-)
사이 셰의 나슈미 가븨야온 듣틀이 보라온 플에 븓터슘 니 ≪1518 번소 9:63ㄱ
 기피 훠 시노 시욱 은 됴 오 보라온 터리로 미론  시너 이쇼 ≪1510년대 번노 하:52ㄴ-53ㄴ
17세기 : (보랍-, 보라오-, 보드라오-)
블근 비 복셩화 고 드러 보랍고 프른 비츤 버듨 니페 가 새롭도다 ≪1632 두시-중 10:2ㄴ
자네 말 겻치 장 보랍고  인댱 시 말 거동이 진실로 日本오니 ≪1676 첩신-초 9:14ㄱ-ㄴ
바당 놉고 리 뎌고 리 보라오며 고 ≪17세기 마경 상:4ㄱ
도 거시 븕고 손으로 지면 보라와 손애 거티디 아닌니 ≪1608 언두 상:17ㄴ
피 나거든 보라온 명디로 스서 업시 고 ≪1608 언태 68ㄴ
흰 기피 훠 신오되 시욹 쳥은 됴흔 보드라온 털로 미론 쳥 신어쇼 ≪1670 노언 하:47ㄴ
18세기 : (보랍-, 보라오-, 보드라오-)
童便은 보랍고 自己便은 세매 그 病에 童便이 죧오니 薑汁을 타 먹 거시 죧오리 ≪1790 인어 8:9ㄴ
네 여러 가지 보라온 실과 굵고 흰 구슬  실을 사고 ≪1765 박신 1:46ㄱ
발에 지피 金線 갸품  훠 신고 흰 보드라온 담쳥에 야쳥 비단에 繡 노흔 슬갑을 고 ≪1765 박신 1:29ㄴ
19세기 : (보드랍-, 보드라오-)
보드랍다 軟 ≪1895 국한 146
보드라온 을 한 치 둑긔만 파고 ≪1886 잠상집요 4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