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드랍따

- 활용
- 보드라워[보드라워


- 품사
- 「형용사」
- 「001」닿거나 스치는 느낌이 거칠거나 빳빳하지 않다.
- 보드라운 피부.
- 보드라운 머릿결.
- 보드라운 감촉.
- 보드라운 뺨.
- 촉감이 보드랍다.
- 그는 보드라운 잔디에 엉덩이를 붙이며 다리도 뻗었다.≪이문구, 장한몽≫
- 콩잎도 깻잎도 그녀는 보드라운 때를 놓치지 않고 따서 된장에 박아 밑반찬을 만들었다.≪한무숙, 만남≫
- 향기를 품은 보드라운 바람이 이따금씩 볼을 스쳐간다.≪김유정, 야앵≫
- 연산은 벌떡 일어나 최보비의 손을 덥석 쥐었다. 하얗고 보드라운 손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보랍다(15세기~18세기)>보드랍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드랍다’의 옛말인 ‘보랍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보랍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어간이 ‘보-’으로 교체되었는데, 15세기 중반 이후에 ‘ㅸ’이 반모음 [w]로 바뀌면서 ‘보-’은 ‘보라오-’로 바뀌었다. 16세기 이후에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7세기에는 ‘보드랍-/보드라오-’가 되었는데, 문헌상으로 는 17, 18세기에 ‘보드라오-’의 예만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보랍-/보-, 보라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