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길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길의 양쪽 가장자리.
길가에 핀 꽃.
길가의 상점들.
길가에 차를 세워 두다.
사람들이 길가에 서 있다.
그날 싸운 이후로 두 사람은 길가에서 마주쳐도 서로 모르는 척하며 지냈다.
그년과 헤어진다면 나는 길가에 나가 앉아 국수를 팔더라도 먹고살 수가 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먼저 도착한 많은 난민들이 길가 그늘에 앉아 떼를 지어 쉬고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그렇다면 중산 선생이 길가 덤불 속에서 해골을 주워 왔다는 것쯤 그리 괴상할 것이 없겠다.≪이기영, 봄≫
드문드문 불빛이 새어 나오고 있는 길가에 서서 상호는 깊이 숨을 들이마셨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긼(15세기~16세기)~길ㅿ(16세기)>긼(17세기)~길(17세기~19세기)>길(19세기)>길가(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길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긼’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말은 ‘길+ㅅ+’의 구조를 갖는 합성어로 분석된다. ‘긼’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나타나던 어형이었으나 16세기에 들어서 ‘ㅿ’이 소멸하면서 ‘긼’로 바뀌어 나타나게 되었다. ‘ㅅ’은 15세기 문헌에서는 ‘길’의 끝소리로 올려 적은 것만 보이나 16세기에 들어서는 ‘길’의 첫소리로 내려 적은 ‘길ㅿ’도 보이기 시작한다. 이후 ‘ㅿ’이 탈락한 형태가 줄곧 쓰이다가 18세기에 ‘ㆍ’의 2단계 소실로 인한 ‘ㆍ>ㅏ’에 따라 ‘긼~길’에도 변화가 생겨 19세기 문헌에서 볼 수 있듯이 ‘길’와 같은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긼, 길ㅿ, 긼, 길, 길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긼)
귀 머그니와 눈 머니와 버워리 외야 긼 잇거 ≪1459 월석 20:63ㄱ
16세기 : (긼, 길ㅿ)
짐 브리우고 오 느추고 마함 벗기고 이 긼 노하 플 먹게 고 ≪1510년대 번노 상:39ㄴ
나 뒤보기 마다 네 길흘 워 고 길셔 뒤보기 말라 ≪1510년대 번노 상:37ㄴ
17세기 : (긼, 길)
 얼여 征夫 주미 긼 룜만 디 몯니라 ≪1632 두시-중 8:67ㄱ
나 뒤보기마다 네 길흘 워 고 길애셔 뒤보기 말라 ≪1670 노언 상:34ㄱ
18세기 : (길)
큰 길 워 멀즉이 고 길에 뒤보지 말라 ≪1763 노신 1:47ㄱ
19세기 : (길, 길)
신이 보니 길의 밧 빌 쟈ㅣ 이셔 ≪1832 십구 2:16ㄴ
길의 집 짓 것 여 ≪1883 이언 跋08ㄴ

관용구·속담(4)

속담길가에 집 세우며 남의 말 들으려다간 집 되여 볼 날 없다
길가에 집 짓기’의 북한 속담.
속담길가에 집 짓기
길가에 집을 지으면 오가는 사람들이 저마다 간섭을 하여 집을 짓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참견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길가의 돌부처가 다 웃겠다
너무나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돌미륵이 웃을 노릇’ ‘돌부처가 웃다가 배꼽이 떨어지겠다’ ‘돌부처가 웃을 노릇
속담길가의 조약돌처럼[조약돌 같다]
오가는 사람들의 발에 밟히고 차이면서 이리 굴리고 저리 굴리는 조약돌 같은 처지라는 뜻으로, 사람다운 대우를 받지 못하고 이리저리 밀려가는 처지나 신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