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김ː매다발음 듣기]
활용
김매어[김ː매어](김매[김ː매]), 김매니[김ː매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논밭의 잡풀을 뽑아내다.
밭을 김매다.
보리밭은 퍼석 말라 김매는 호미 끝에 흙먼지가 풀썩풀썩 피어올랐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역사 정보

기다(15세기~16세기)>기음다(16세기~19세기)>김다(19세기)>김매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김매다’의 옛말인 ‘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기다’는 “김”을 뜻하는 명사 ‘기’과 “매다”를 뜻하는 동사 ‘-’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유성 마찰음인 ‘ㅿ’[z]이 소멸함에 따라 ‘기’이 ‘기음’이 되면서 ‘기음-’가 되었다. 19세기까지 ‘기음-’로 나타나다가 19세기에 ‘기음’이 축약되어 ‘김’으로 나타나면서 ‘김-’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고 이중 모음 ‘ㆎ’ 또한 이중 모음 ‘ㅐ’[ay]로 변하였다. 이후 이중 모음 ‘ㅐ’[ay]가 다시 단모음 ‘ㅐ’[ɛ]로 변하였는데, ‘기-’에 결합한 ‘-’ 또한 이러한 변화를 겪어 ‘매-’가 되었다. ‘기’과 ‘-’가 이러한 변화를 겪어 19세기에 ‘김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기다, 기음다, 기다, 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기다)
菜圃ㅅ 이러미 새 비예 저즈니 그듸의 기기 廢고 오 붓그리노라 ≪1481 두시-초 12:38ㄴ_7
16세기 : (기다, 기음다)
나히 열둘힌 제 어미조차 묏바 가 기다가 어미 버믜게 잡피여늘 ≪1514 속삼 효:15ㄱ
기 운 ≪1527 훈몽 하:3ㄱ
기음 운 ≪1576 신합 하:7ㄴ
17세기 : (기음다, 기다)
나히 열둘힌 제 어미 조차 묏바 가 기음다가 어미 범의게 자피여늘 ≪1617 동속 효:12ㄴ≫
鏟子 셔셔 기음 호믜 ≪1690 역해 하:7ㄴ
菜圃ㅅ 이러미 새 비예 저조니 그의 기기 廢고 오 붓그리노라 ≪1632 두시-중 12:37ㄴ
18세기 : (기음다)
밧갈 제 씨업서도 주디 아니며 기음 제 냥식이 업서도 블샹히 너기디 아니야 ≪1756 어훈 가색편:2ㄱ
鋤草 기음다1790 몽해 하:1ㄴ
19세기 : (기음다, 김다, 김매다)
기음다 除草 ≪1880 한불 173
세흔 됴흔 씨 비록 따희 떠러지나 농부ㅣ 기음지 아니면 사오나온 풀이 떩이 지어 셩야 ≪1892 성직 2:91ㄴ
김 除草 김다1880 한불 173
김매다 耘田 除草 ≪1895 국한 49

관용구·속담(2)

속담김매기 싫은 놈 밭고랑만 센다
게으른 일꾼이 밭을 매다가 얼마나 했는지 헤아려 본다는 뜻으로, 게으른 사람이 일은 안 하고 빨리 그 일에서 벗어나고만 싶어 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게으른 년이 삼 가래 세고 게으른 놈이 책장 센다’ ‘게으른 놈[일꾼] 밭고랑 세듯’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넘기듯]
속담김매는 데 주인은 아흔아홉 몫을 맨다
남을 부려서 하는 일에 주인만 애쓴다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