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배부르다발음 듣기]
활용
배불러[배불러발음 듣기], 배부르니[배부르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더 먹을 수 없이 양이 차다.
늦게 점심을 먹었더니 아직 배부르다.
그녀도 그녀의 어머니가 쌀밥이나 배부르게 먹고 살라고 쌀분이라는 이름을 지어 불렀다고 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두령은 굶주린 배를 배부른 것처럼 꾸미고 동지들을 구하러 싸움터로 떠났다.≪이병주, 지리산≫
한번도 배부르게 밥을 먹어 본 적이 없었고, 옷가지 하나 변변한 것을 얻어 입어 본 적이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브르다(15세기~18세기)>부르다(18세기~19세기)>배부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배부르다’의 옛말인 ‘브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르다’는 명사 ‘’과 동사 ‘브르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브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블어’와 같이 ‘블ㅇ-’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17세기에는 ‘블ㅇ-’ 대신 ‘블ㄹ-’이 쓰인 예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8세기에는 양순음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를 겪어 ‘부르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져 이중모음 ‘ㆎ’도 ‘ㅐ[ay]’와 소리가 같아진 후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가 ‘배’로 바뀌었는데, 다만 ‘배부르다’ 형태는 20세기 이후에 나타난다.
한편 16~19세기 문헌에는 ‘브르다>부르다’의 다양한 이표기가 나타나는데,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가 ‘ㅡ’로 바뀐 것을 의식하여 과잉 교정을 한 ‘브다’, ‘부다’ 등의 표기도 나타나고, 과잉 분철 표기를 한 ‘블으다’, ‘불으다’, ‘불오다’, ‘불우다’ 등도 나타난다. 또 제2음절의 원순모음 ‘ㅜ’의 영향으로 제3음절의 모음 역시 ‘ㅗ’나 ‘ㅜ’로 바뀐 ‘부로다’, ‘부루다’, ‘불오다’, ‘불우다’ 등도 나타난다. 또한 18~19세기에는 모음 사이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라 ‘블ㄹ->불ㄹ-’을 ‘블ㄴ->불ㄴ-’으로 표기한 예도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브르다, 블으다, 브다, 브로다, 부르다, 불으다, 부다, 부로다, 부루다, 불오다, 불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브르-, 블ㅇ-)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야 디니면 내 몬져 됴 차바로 브르긔 고 ≪1447 석상 9:9ㄱ
饒 브를 씨라 ≪1459 월석 4:11ㄴ
머리 둘히라도 몸이 나힐 블옴도 가지러니 ≪1447 월곡 49ㄱ
西戎이 眞實로 블어셔 놋다 ≪1481 두시-초 5:12ㄱ
16세기 : (브르-, 블ㅇ-)
 자바 아직 아려나 옷 덥고져 밥 브고져 니라 ≪1510년대 번노 하:55ㄴ
브를 포 飫 브를 어 ≪1527 훈몽 하:8ㄴ
孔子ㅣ 샤 君子 밥 머고매 블오 구티 말며 사로매 편안호 구티 말며 ≪1518 번소 4:8ㄴ
내의 平生 든 더이 닙고 블오매 잇디 아니니라 ≪1518 번소 10:20ㄱ
17세기 : (브르-. 블ㅇ-, 블ㄹ-, 브-, 브로-)
옷도 너무 덥게 말며 밥도 너무 브르게 말며 ≪1608 언태 15ㄱ
西戎이 眞實로 블어셔 놋다 ≪1632 두시-중 5:12ㄱ
블러 홈을 펴 주으려 거 바브로 더야 여곰 그 브르고져  願을 일오고 ≪17세기 여훈 하:18ㄴ
긔특 차반이며 아다온 마시 사오나온 밥의 브니 디 몯니라 ≪17세기 여훈 하:39ㄱ
믈  되에 프러 플 머겨 브로거 흘리고 잇날의  흘리라 ≪17세기 마경 상:97ㄴ
18세기 : (브르-, 브-, 블ㄴ-, 부르-, 부-, 부로-, 부루-, 불으-)
우리를 보리 풍년을 주시량이면 주리던 쟤 가히 브를 거시오 병 든 쟤 가히 소복 거시니 ≪1783 유함경도윤음 8ㄴ
어버의 식 위신 이 치위며 더우며 브며 주리매 일 일도 범홀티 아니시니 ≪1761 경문 28ㄱ
일 읍 사이 블너 아닐 이 업고 밀의 츅장은 로에 진니 읍인이 허의 은혜 감격야 ≪1796 경신 47ㄴ
모든 弟兄들이 이제 술도 醉고 밥도 부르다1765 박신 1:07ㄱ
몬져 부믈 구며 갈매 니디 아니 ≪1761 경문 15ㄱ
이러면 이 限 셔 만히 먹어 부로리라1790 몽노 2:7ㄱ
飽了 부루다1790 몽해 상:49ㄱ
너희 줄이면 내 줄이 듯고 너희 불으면불은 듯고 ≪1788 유함경도윤음 3ㄴ
19세기 : (브-, 부르-, 불ㄴ-, 부-, 부루-, 불으-, 불오-, 불우-)
너희 무리 심으기 만히 나 거둠이 젹고 먹기 나 브이 업고 옷 닙으나 더움이 업고 ≪1892 성직 100ㄴ
너의  번 차고  번 더우며  번 쥬리고  번 부른 졀이나 ≪1882 척사윤음 9ㄴ
싀랑이 심히 양의 고기 즐겨 틈을  우리에 나아가 목쟈ㅣ 자거나 불너 쉼을 기려 우리 뚧고 들어가 양의 목을 물어 ≪1892 성직 45ㄴ
너희 주린 쟈 복이문 너희 쟝차 부 거시오 ≪1887 성전 누가 6:21
부루게 먹고 남은 부수럭이 열두 광지에 우고 ≪1887 성전 마태 14:20
범사와 아무 거세나 불으며 곱프며 어드며 부죡며 엇더물 뵈여 ≪1887 성전 빌립보서 4:12
물고기도  갓치 여 뎌고져 게 니 뭇사덜이 불온지라1887 성전 요한 6:11
뭇 사이 불우게 먹고 남은 부수러기 닐굽 광지에 우니 ≪1887 성전 마태15:37

관용구·속담(12)

관용구배부른 흥정
되면 좋고 안 돼도 크게 아쉽다거나 안타까울 것이 없는 흥정.
  • 한밑천 잡고 나서 배부른 흥정만을 하니 가게를 찾는 손님이 점차로 줄었다.
속담배부르고 등 따습다
배부르게 먹고 등이 따습게 옷을 입는다는 뜻으로, 잘사는 생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배부르니까 평안 감사도 부럽지 않다
굶주렸던 사람이 배가 부르도록 먹으면 만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은 부지런하지만 돈 있는 사람은 게으르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매는 사냥을 않는다
속담배부른 고양이 새끼 냄새 맡아 보듯
잔뜩 먹은 고양이가 흡족해서 제 새끼를 핥아 주며 냄새를 맡듯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서나 마음이 흐뭇해서 이것저것 살펴보고 만져 보고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배부른 놈이 잠도 많이 잔다
배가 고프면 잠도 잘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배가 불러야 모든 게 잘된다는 말.
속담배부른 데 선떡 준다
배가 부를 때 선떡을 주면 아무 고마움을 못 느낀다는 뜻으로, 생색이 나지 않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배부른 매는 사냥을 않는다
가난한 사람은 부지런하지만 돈 있는 사람은 게으르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속담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속담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속담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속담배부른 자에게는 고량진미를 주어도 별맛을 모른다
배가 부르면 아무리 맛있는 것도 그 참맛을 모른다는 뜻으로, 늘 행복하게 사는 사람은 자기에게 있는 행복이 얼마나 큰 것인가를 잘 모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