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배부르다

- 활용
- 배불러[배불러


- 품사
- 「형용사」
- 「001」더 먹을 수 없이 양이 차다.
- 늦게 점심을 먹었더니 아직 배부르다.
- 그녀도 그녀의 어머니가 쌀밥이나 배부르게 먹고 살라고 쌀분이라는 이름을 지어 불렀다고 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두령은 굶주린 배를 배부른 것처럼 꾸미고 동지들을 구하러 싸움터로 떠났다.≪이병주, 지리산≫
- 한번도 배부르게 밥을 먹어 본 적이 없었고, 옷가지 하나 변변한 것을 얻어 입어 본 적이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 반대말
- 배-고프다
- 지역어(방언)
- 배-부루다(경남), 배-뻥끗하다(경남), 석상-하다(경남), 배-부리다(경상), 배-불르다(전남, 제주), 배-불다(제주), 베끄다(제주)
- 옛말
- -브르다
역사 정보
브르다(15세기~18세기)>부르다(18세기~19세기)>배부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배부르다’의 옛말인 ‘브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르다’는 명사 ‘’과 동사 ‘브르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브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블어’와 같이 ‘블ㅇ-’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17세기에는 ‘블ㅇ-’ 대신 ‘블ㄹ-’이 쓰인 예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8세기에는 양순음 ‘ㅂ’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를 겪어 ‘부르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져 이중모음 ‘ㆎ’도 ‘ㅐ[ay]’와 소리가 같아진 후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가 ‘배’로 바뀌었는데, 다만 ‘배부르다’ 형태는 20세기 이후에 나타난다. 한편 16~19세기 문헌에는 ‘브르다>부르다’의 다양한 이표기가 나타나는데,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가 ‘ㅡ’로 바뀐 것을 의식하여 과잉 교정을 한 ‘브다’, ‘부다’ 등의 표기도 나타나고, 과잉 분철 표기를 한 ‘블으다’, ‘불으다’, ‘불오다’, ‘불우다’ 등도 나타난다. 또 제2음절의 원순모음 ‘ㅜ’의 영향으로 제3음절의 모음 역시 ‘ㅗ’나 ‘ㅜ’로 바뀐 ‘부로다’, ‘부루다’, ‘불오다’, ‘불우다’ 등도 나타난다. 또한 18~19세기에는 모음 사이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라 ‘블ㄹ->불ㄹ-’을 ‘블ㄴ->불ㄴ-’으로 표기한 예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브르다, 블으다, 브다, 브로다, 부르다, 불으다, 부다, 부로다, 부루다, 불오다, 불우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2)
- 관용구배부른 흥정
- 되면 좋고 안 돼도 크게 아쉽다거나 안타까울 것이 없는 흥정.
- 한밑천 잡고 나서 배부른 흥정만을 하니 가게를 찾는 손님이 점차로 줄었다.
- 속담배부르고 등 따습다
- 배부르게 먹고 등이 따습게 옷을 입는다는 뜻으로, 잘사는 생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부르니까 평안 감사도 부럽지 않다
- 굶주렸던 사람이 배가 부르도록 먹으면 만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가난한 사람은 부지런하지만 돈 있는 사람은 게으르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매는 사냥을 않는다’
- 속담배부른 고양이 새끼 냄새 맡아 보듯
- 잔뜩 먹은 고양이가 흡족해서 제 새끼를 핥아 주며 냄새를 맡듯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서나 마음이 흐뭇해서 이것저것 살펴보고 만져 보고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부른 놈이 잠도 많이 잔다
- 배가 고프면 잠도 잘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배가 불러야 모든 게 잘된다는 말.
- 속담배부른 데 선떡 준다
- 배가 부를 때 선떡을 주면 아무 고마움을 못 느낀다는 뜻으로, 생색이 나지 않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부른 매는 사냥을 않는다
- 가난한 사람은 부지런하지만 돈 있는 사람은 게으르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고양이는 쥐를 잡지 않는다’
- 속담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 속담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 속담배부른 상전이 하인 밥 못 하게 한다
- 고생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고생하는 사람의 사정을 모른다는 말. <동의 속담> ‘배부른 사람은 배고픈 사람 사정을 모른다’ ‘배부른 상전이 배고픈 하인 사정 모른다’
- 속담배부른 자에게는 고량진미를 주어도 별맛을 모른다
- 배가 부르면 아무리 맛있는 것도 그 참맛을 모른다는 뜻으로, 늘 행복하게 사는 사람은 자기에게 있는 행복이 얼마나 큰 것인가를 잘 모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