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근심되다발음 듣기/근심뒈다발음 듣기]
활용
근심되어[근심되어/근심뒈여](근심돼[근심돼]), 근심되니[근심되니/근심뒈니]
품사/문형
「동사」 【…이】【-ㄴ지가】
「001」해결되지 않은 일 때문에 속이 타거나 우울해지다.
동궁은 장래의 이 나라의 임금이라 그 건강이 근심되어 수양은 늘 형께 건강에 주의하기를 권하였다.≪김동인, 대수양≫
아이가 공부를 잘하고 있는지가 근심되어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남자 없는 집안, 도둑의 손이 탈까 근심되었던지 막딸네는 닭장을 손보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근심외다(16세기)>근심되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근심되다’의 옛말인 ‘근심외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심외다’는 명사 ‘근심’과 ‘외-’가 결합한 것이다. ‘외-’는 제1음절 모음 ‘ㆍ’가 제2음절의 원순 모음 ‘ㅗ’의 영향으로 ‘ㅗ’로 바뀐 ‘도외-’로 변한 후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된 ‘되-’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심외-’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16세기부터 ‘근심되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근심외다, 근심되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근심외다)
杜季良ㅣ란 사 호긔롭고  려 어딘  이 즐겨 사 근심왼 이 조차 근심며 ≪1518 번소 6:14ㄱ
나 오히려 샹사 되욤 免티 몯얃노니 이 곧 可히 근심되니라1588 소언 4:1ㄴ
18세기 : (근심되다)
져런 사을 내 크게 착히 너기노라 程昱이 니로되 후에 근심되거든 승샹은 원치 말라 ≪1774 삼역 2:6ㄱ
요으로 우리의게 조차 오 사 잇 거시 그제  속 근심되옴은 하이 우리게 돕 거시니라 ≪1774 삼역 8:12ㄴ
요으로 우리의게 조차 오 사 잇 거시 그제  속 근심되옴은 하이 우리게 돕 거시니라 ≪1774 삼역 8:12ㄴ
19세기 : (근심되다)
비로소 에 무셥고 겁나고 근심되고 답답야 샤 ≪1892 성직 4:27ㄱ
악인은 즐거옴을 누림이 가히 근심되니 그 즐김이오 악의 효험이라 심이라 ≪1892 성직 5:55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