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그끄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그끄저께’의 준말.
그끄제가 아버지 생신이었다.
교정부의 오후 시간은 어제와 그제와 그끄제와 다를 것 없이 느릿느릿 저물어 갔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관련 어휘

본말
그-끄저께
옛말
긋그제

역사 정보

긋그제(17세기~19세기)>그끄제(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그끄제’의 옛말인 ‘긋그제’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긋그제’는 지시 관형사 ‘그’와 “때”를 나타내는 명사 ‘적’, 처격 조사 ‘의’가 결합한 것으로, ‘긋그저긔’가 축약되어 ‘긋그제’로 실현된 것이다. 제1음절의 종성 ‘ㅅ’의 영향으로 제2음절의 초성 ‘ㄱ’이 된소리가 되어 ‘그끄제’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긋그제
세기별 용례
17세기 : (긋그제)
뎌 丁舍ㅣ아 네 언제 온다 내 一百 疋 을 몰고 긋그제 올와 들흘 다 잘 가져온다 ≪1677 박언 중:13ㄴ
大前日 긋그제1690 역해 상:3ㄴ
18세기 : (긋그제)
네 언제 온다 긋그제 왓노라 내 집의 書信이 이셔 가져 왓냐 ≪1765 박신 1:49ㄴ
19세기 : (긋그제)
大前日 긋그제1778 방유 신부:8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