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을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고향 마을.
그들은 어릴 적부터 한 마을에 살아 잘 아는 사이다.
마을 앞쪽으로는 강이 흐르고 있다.
우리 동네는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
여인이 장승박이 마을 앞을 지날 때, 해는 서산에 걸쳐진 채 저녁놀이 온 천지를 새빨갛게 물들이고….≪김동리, 바위≫
마을 사람들은 이 노송을 학 나무라고 불렀다.≪이범선, 학마을 사람들≫
언덕 아랜 읍하듯 엎드린 초가 마을, 이엉을 갈지 못하고 회갈색으로 변한 지붕이 눈에 띄고 마을 길을 달려가는 아이들 모습을 볼 수가 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15세기~17세기)>(16세기~19세기)/(16세기~19세기)>읋(17세기~19세기)/을(18세기)>마을(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을01’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 ‘/’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그러나 이미 15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탈락한 ‘’ 형태 역시 나타나는데, 일반적인 ㅎ종성체언은 조사 ‘-과’와 결합할 때 ‘-콰’로 나타나지만, ‘’의 경우는 끝소리 ㄹ을 지닌 다른 단어들이 그러하듯 ‘와’로 나타나는 것이 그 증거이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는 18세기까지도 끝소리 ㅎ을 지닌 형태가 여전히 나타났다.
16세기 이래로 ㅿ이 사라짐에 따라 ‘/’은 ‘/’로 변화하였다. 17세기에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등에서 드물게 ㅿ이 유지된 ‘’의 예가 보이나 이는 중세 시기 문헌의 영향을 받은 문헌 자체의 특성 때문일 뿐 실제로 ㅿ 소리가 이 시기에 남아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16세기 이래로 두 번째 음절 이하에서 ‘ㆍ’가 ‘ㅡ’로 바뀌는 변화에 따라 ‘, ’이 ‘읋, 을’로 변화하였다. 또한 18세기 이래로 첫 번째 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오늘날과 같은 ‘마을’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 , , 읋, 을, 마을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舍利弗이 닐오 히 멀면 乞食디 어렵고 하 갓가면 조티 몯리니 ≪1447 석상 6:23ㄴ
聚落  져재라 ≪1461 능엄 4:34ㄴ
녀름 지 이 마다 리 고 ≪1481 두시 10:13ㄱ≫
 와 햇 지비 톼 누네 드니 ≪1481 두시 3:52ㄴ≫
16세기 : (, , , , 읋. 을)
우믈을 횟도라 절야 하 블러 빈대 므리 소사나거 히 호 孝誠으로 그러타 더라 ≪1514 속삼 효:1ㄱ
 촌 ≪1527 훈몽 중:5ㄱ
니츙이 거즛 답호 스울 비라 와 아 모도고 호리라 ≪1518 이륜-옥 8ㄱ
와 아과 누의과 아누의괘 서 찬해야 화티 몯면 고을히며 히 다 척며 ≪1579 경민-중 6ㄴ
이며 친쳑히 닐오되 홰  블측이라 고 탈상라 권한대 ≪1581 속삼-중 효:34ㄱ
과 권당들로 더블어 그 주신 거슬 가지로 안향야  내 나 날을 다으려 노니  可티 아니냐 ≪1588 소언 6:83ㄴ-84ㄱ
內史 貴 사이라 을 들거든 을 온대 늘근이들히 다 라 들어 숨거늘 ≪1588 소언 6:8ㄱ-ㄴ
17세기 : (, , , 읋, 을)
일향  사이  효도의 감동미라 더라 ≪1617 동신속 효6:22ㄴ≫
일향 히 아다이 녀겨 그  일홈을 닐어 로 효우 을히라 니라 ≪1617 동신속 효8:65ㄴ≫
 와 햇 지비 톼 누네 드니 ≪1632 두시-중 3:52ㄴ
녜 사던 히 플 기어 브으왜엿도소니 이욷 도 제여곰 흐터 가도다 ≪1632 두시-중 2:65ㄴ
그  일홈을 닐어 로 효우 을히라 니라 ≪1617 동신속 효8:65ㄴ≫
아븨 상애 시묘 사니 일향과 을 사이 효 일더니 ≪1617 동신속 효8:18ㄴ≫
18세기 : (, , 을, 마을)
말이 튱셩되고 밋브디 아니며 실이 독실고 공경티 아니면 비록 고올과 히나 니랴 ≪1737 어내 1:15ㄱ
싀어믜게 뵈 녜 고 독을 자바 나가 믈 길어 婦道 닷그니 과 나라셔 일더라 ≪1737 어내 2:110ㄱ
일 년의 을 일오고 이 년의 고을을 일오고 삼 년의 도읍을 일워 ≪1759 속자성 29ㄱ
을이 일이 이시면  고을이 두려 움즈기미 곳 니셰의 반시 그러 배라 ≪1782 유중외윤음
그 적의 趙雲이 동녁 마을 앏 햐쳐여셔 ≪1703 삼역 10:9ㄴ
19세기 : (, , 읋, 마을)
잇 바애 히 일고 두 만의 고을히 일고 ≪1832 십구 1:16ㄱ
 미욱 셩들이 그을 분변치 아니고 ≪1897 주교 15ㄱ
복하과 뎐방으로 스승을 삼고 단간목의 을에 디날 제 반다시 업리니 ≪1832 십구 2:64ㄱ
마을 村 ≪1880 한불 21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