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뒷-간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뒤ː깐발음 듣기/뒫ː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변소’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뒷간에 가다.
시골에서 나는 밤에 뒷간 가기가 제일 무서웠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똥-간(똥間), 먼-데, 변방(便房), 변소(便所), 작은-집, 정방(淨房), 진잿-간(진잿間), 청측(圊廁), 측간(廁間), 측실(廁室), 측청(廁圊), 혼측(溷廁), 화장-실(化粧室), 회-치장(灰治粧)
지역어(방언)
똥-둣간(강원), 똥둑-간(강원, 전북, 평북, 함북), 정낭(강원, 경남), 쩡냥-깐(강원, 함남), 통시(강원, 경남, 전남), 둣-간(둣間)(경기, 충북, 중국 길림성), 재깐(경기), 구세(경남), 구시마(경남), 동세(경남), 뒤안-간(뒤안間)(경남), 들-통시(경남), 딧-간(딧間)(경남, 전북, 충청, 평안), 똥-구당(경남), 똥-구덕(경남), 똥-구디기(경남), 똥-구세(경남), 똥-구시(경남), 똥시-깐(경남), 수왕(경남), 수항(경남), 정나(경남), 정난(경남), 통구시(경남), 통새(경남, 전라, 제주), 통수-깐(경남), 통싯-간(경남, 충남, 황해), 퉁시(경남), 퉁싯-간(퉁싯間)(경남, 충남, 황해), 호간(경남), 뒤-간(뒤間)(경북), 디-간(디間)(경북, 전남, 충청, 중국 길림성), 똥시(경상), 통사(전남), 통세(전남), 동숫-간(동숫間)(전라, 충청), 동싯-간(동싯間)(전라, 충청), 똥새(전라), 북간(北間)(전라), 똥-돗간(똥돗間)(전북), (제주), 정남(제주), 똥-뒷간(충남, 황해), 똥수-깐(충남, 함경), 똥-딧간(똥딧間)(충북), 소맛-간(충청), 통쇠-깐(평남), 경낭(평북), 껭낭(평북), 껭낭-간(껭낭間)(평북), 잿-통(평북), 뒤짓-간(뒤짓間)(함남), 정낭-깐(함남), 정양-깐(함남), 쫑양-간(쫑양間)(함남), 칙시-깐(함남), 경낭-간(경낭間)(황해), 두-간(두間)(황해), 두-칸(황해), 둑-간(황해), 뒤-칸(황해), 똥특-간(똥특間)(황해), 찟-간(찟間)(황해), 통숫-간(황해), 통특-간(통특間)(황해)
옛말


역사 정보

뒷간(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뒷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뒷간'은 ᄒ 종성 체언인 '뒿'와 관형격 조사 'ᄉ'이 결합한 '뒷'과 한자 '간(間)'의 한글 표기인 '간'이 결합한 것이다. ᄒ 종성 체언의 종성 'ᄒ'은 자음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므로 '뒿'와 관형격 조사 'ᄉ'의 결합은 '뒷'으로 나타난다. 17세기의 '뒤'은 '뒷간'의 제1음절 종성 'ᄉ'이 제2음절 초성인 'ᄀ'과 함께 표기된 것으로 된소리 표기를 나타낸다. 17세기의 '뒤간'은 관형격 조사 'ᄉ'이 결합되지 않은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뒷간)
모로매 조심야 뒷간애 가디 말라 ≪1489 구간 7:36ㄴ
16세기 : (뒷간)
뒷간 치 ≪1527 훈몽 중:3ㄴ
17세기 : (뒷간, 뒤, 뒤간)
팔월의 뒷간의 잇고 구월의 문의 잇고 ≪1608 언태 66ㄱ-66ㄴ
식  겨집이 뒤 들 적을 보와 ≪1608 언태 10ㄴ
뒤간 측 厠 ≪1664 유합-칠 14ㄴ
18세기 : (뒷간)
말 못  藥을 머기고 뒷간의 드리텨 두고 ≪1737 어내 2:59ㄴ
19세기 : (뒷간, 뒤, 뒤간)
발로  뒷간 가온대 두고 ≪1832 십구 2:112ㄴ
양ㅣ 뒤의 가다가 음이 동야 ≪1832 십구 2:42ㄱ
뒤간 厠 ≪1880 한불 49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