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노른자위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알의 흰자위에 둘러싸인 동글고 노란 부분.

관련 어휘

비슷한말
난황(卵黃), 노른-자
참고 어휘
흰-자위
지역어(방언)
노란-자구(강원), 노란-자국(강원), 노란-자우(강원, 경기, 충북), 노랑-자구(강원), 노래이(강원, 경북, 충북), 노론-자우(강원), 노른-자구(강원), 노린-자우(강원), 노린-재(강원, 경상, 전남, 충청), 노린-청(강원), 노란-자(경기, 충청), 노랑-자(경기, 경북, 전라, 충남), 노랑-자우(경기, 충북), 노랑-자위(경기, 전북, 충북), 노린-자(경기, 충남), 노린-자위(경기), 노란-접시(경남), 노랑-접시(경남), 노랑-조시(경남, 전남), 노랑-창(경남, 전남), 노랑-채이(경남), 노랑-챙이(경남), 노랭-챙이(경남), 노른-자우(경남), 노른-재(경남, 충청), 노란-알(경북), 노란-자새(경북), 노란-자이(경북), 노란-창(경북, 전북), 노란-채(경북), 노란-챙(경북), 노랑-재(경북, 전북, 충북), 노른-쟁이(경북), 노린-자새(경북), 노린-재이(경북), 노린-챙이(경북), 노란-조시(경상, 전남), 노른-조시(경상), 노란-저시(전남), 노랑-차(전남), 노랑-제란(전라), 노란-자사(전북), 노란-젓(전북, 충남), 노란-좆(전북), 노랑-자사(전북), 노랑-자시(전북), 노랑-젓(전북), 노랑-좃(전북), 노랑-좆(전북), 노랑-알(제주), 노른-알(제주), 노른-자이(제주), 노린-알(제주), 노란-재(충남), 노룬-재(충남), 누런-자(충남), 누린-자(충남), 노린-창(충북), 노란-저울(평북), 노랑-저울(평북), 노란-자시(함북)
옛말
누른-

역사 정보

누른(15세기~16세기)>누른(16세기)>누른의(17세기~18세기)/노의(17세기)>노른의(18세기~19세기)>노른자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노른자위’의 옛말인 ‘누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누른’는 ‘누르다’의 관형형 ‘누른’과 “자위”의 의미인 ‘’가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다. ‘’는 16세기 이후 유성 마찰음인 ‘ㅿ’[z]가 소멸하고,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의’의 변화 과정을 겪는다. 17세기 이후 ‘누른’ 대신 ‘노’이 ‘의’와 결합한 ‘노의’가 나타나는데, 18세기 이후에는 ‘노’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한 ‘노른의’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고 모음 ‘ㅢ’가 ‘ㅟ’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 ‘노른자위’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노란자위’는 17세기의 ‘노자위’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누른, 누른, 누른의, 노의, 노른의, 노란자위
세기별 용례
15세기 : (누른)
알  낫 누른 즙  홉애 녀허 프러 ≪1489 구간 7:23ㄱ
16세기 : (누른, 누른)
 알 누른과 블근 수의 벼츼 피오로 내여 섯거 ≪1542 분문 11ㄴ
 알 누른과 블근 수의 벼츼 피오로 내여 조쳐 ≪1578 간벽 10ㄴ
17세기 : (노의, 누른의)
오계알 나 흰의 업시 노의만 두고 ≪1608 언태 43ㄱ
卵黃 의 알 누른의1613 동의 1:35ㄱ
18세기 : (노른의, 누른의)
蛋黃 노른의1748 동해 하:35ㄴ
蛋黃 누른의1790 몽해 하:29ㄴ
19세기 : (노른의, 노란자위)
노른의 黃瞳 ≪1880 한불 290
노란자위 黃子圍 ≪1895 국한 6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