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관디]
- 품사
- 「명사」
- 분야
-
『복식』
- 「001」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지금은 전통 혼례 때에 신랑이 입는다.
- 관디를 갖추다.
- 관디를 입다.
- 영부사 대감은 사모 쓰고 관디 입고, 나이가 반백이 넘어서 수염과 머리털이 희끗희끗했는데….≪박종화, 임진왜란≫
역사 정보
관(16세기~18세기)>관디(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관디’의 옛말인 ‘관’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면서 이중 모음 ‘ㆎ’도 ‘ㅢ’로 변함에 따라 ‘관’는 ‘*관듸’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 국어 후기에 이중 모음 ‘ㅢ’가 ‘ㅣ’로 단모음화하여 ‘관디’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관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