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르다발음 듣기]
활용
발라[발라발음 듣기], 바르니[바르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6」겉으로 보기에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다.
길이 바르다.
줄을 바르게 서다.
선을 바르게 긋다.
의자에 바르게 앉아라.
장롱에 이불을 바르게 개 넣어라.

역사 정보

바다(15세기~19세기)>바르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르다’의 옛말인 ‘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는 ‘바르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바다, 바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바다)
直 바 씨라 ≪1459 월석 서:18ㄱ
街 바 길히오 巷은 구븐 길히라 ≪1461 능엄 9:62ㄴ
소로 목을 쥐믈어 목   처 바게 고 ≪1489 구간 1:60ㄱ
16세기 : (바다)
論語에 오 돗기 바디 아니커든 안 아니더시다 ≪1588 소언 3:15ㄴ
바 대로 닐오리라 ≪1510년대 번노 하:10ㄴ-11ㄴ
17세기 : (바다)
졈졈 손으로 아긔 귀 자바긔야 바게 고 ≪1608 언태 23ㄱ
죵아리 고 압굽은 두렷디 크며 바고 바당 놉고 리 뎌고 리 보라오며 ≪17세기 마경 상:4ㄱ
18세기 : (바다, 바르다)
檃栝은 구븐 나모 자바 바게  거시니 말과 실을 서 맛초와 보단 말이라 ≪1737 어내 1:13ㄴ
몸을 바르게 야 남이 화케 며 ≪1796 경신 1ㄴ
집안에 이실 제 거동이 엄뎡니 손이 의관을 바르디 아니면 뵈디 못더라 ≪1797 오륜 형:36ㄴ
19세기 : (바다, 바르다)
너ㅣ 몬져 샤특이 잇면 엇지 사을 바게 리오 ≪1892 성직 53ㄱ
인군의 이 몬져 바르시면 신하의 졀죠도 이의 단졍 거시니 ≪1883 이언 2:57ㄱ
고쵸  업시 고 모지고 르게 흔 거 우희 만히 너코 ≪1869 규합 9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