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반드타다

- 활용
- 반듯하여[반드타여](반듯해[반드태]), 반듯하니[반드타니]
- 품사
- 「형용사」
- 「001」작은 물체, 또는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다.
- 반듯한 사각형.
- 반듯하게 개어 넣은 국기.
- 반듯하게 눕다.
- 모자를 반듯하게 쓰다.
- 염상진이가 어느새 주견이 반듯한 성인으로 성장해 있음은 자기 자식의 변모를 보는 듯 흐뭇하고 대견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몸에 꼭 맞는 양복, 반듯하게 맨 넥타이 그리고 잘 매만진 머리가 은연중 사내의 빈틈없음을 말해 주고 있는 것 같았다.≪조해일, 왕십리≫
- 정말 반듯하고 얌전한 여자 같으면 사내들이 감히 그런 엄두를 낼 수가 없는 것이다.≪하근찬, 야호≫
- 어둠 속으로 뻗어 나간 울퉁불퉁한 밭둑길을 지나 밝고 반듯한 한길로 나섰다.≪유재용, 성역≫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반다(18세기~19세기)>반듯다(19세기)>반듯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반듯하다’의 옛말은 ‘반다’이다. 이 어형은 18세기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는데 ‘평평하다’의 뜻을 가진 ‘반다’는 15세기의 ‘반다’와 구분할 필요가 있다. 15세기의 ‘반다’와 18세기의 ‘반다’는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의미도 유사할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전자는 ‘분명하다’의 의미로 쓰이고, 후자는 ‘편평하다’의 의미이기 때문에 서로 구분하여야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반다, 반듯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