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박차다발음 듣기]
활용
박차[박차발음 듣기], 박차니[박차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발길로 냅다 차다.
대문을 박차고 나가다.
낯선 사내를 박차 거꾸러뜨리다.
하사가 문득 총을 집어 들고 방문을 박차며 쏜살같이 방 밖으로 도망을 친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박차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박차다’는 15세기부터 형태 변화 없이 쓰였으나 16세기~17세기에는 ‘박다’로 쓰이기도 하였고, 특히 17세기에는 ‘박구르다’의 형태로도 쓰였다. 18세기에 출현 예가 없는 것은 자료상의 문제이며 실제로는 활발히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박차다, 박구르다, 박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박차다)
노 믌겨른 하 박차 도다 ≪1481 두시-초 13:27ㄱ
16세기 : (박다)
어믜 간 자브며 어믜 도 박니 어  갈로 딜워 기 시 알헤 ≪1563 은중 6ㄱ
17세기 : (박차다, 박구르다, 박다)
믄득 도적의 멱 잡고 박차 구리틴대 도적이 노야 주기니 ≪1617 동신속 효1:57ㄴ≫
도적이 혹 쥐다디며 혹 박구로되 내죵내 굴티 아닌대 ≪1617 동신속 열6:4ㄴ≫
박다 跌 跌撲 ≪1657 어록-초 5ㄱ
19세기 : (박다)
양탁의 어린 아을 발노 박 쥭이고 그 시쳬  업더져 느러지니 ≪1852 태상 2:19ㄱ
한 귀신니 문을 박고 드러와 쇼를 가다듬아 한 번 부르고 ≪1881 조군 10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