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물건을 매거나 꿰거나 하는 데 쓰는 가늘고 긴 물건. 노, 줄, 실, 헝겊 오리, 가죽 오리 따위가 있다.
끈을 꼬다.
끈을 풀다.
윤호는 경애의 두 손을 끈으로 묶는 시늉을 했다.≪조세희, 궤도 회전≫
종대는 그의 목에 걸릴 끈과 올가미를 생각해 보았다. 그 끈이 백 속에 들어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그러자 이번에는 우발산이 나서서 준비해 온 끈으로 그 젊은이를 멧돼지 옭듯 옭았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죄수복엔 원래 허리띠가 없었다. 끈으로 목을 맬지 모르기 때문에 죄수에겐 허리띠는 고사하고 신발 끈조차도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긶(15세기~17세기)>(16세기~19세기)>(18세기~19세기)>(18세기~19세기)>끈(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끈’의 옛말인 ‘긶’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긶’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끝소리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서 ‘긶/긴’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긶’은 16세기에 첫소리 ‘ㄱ’이 된소리로 바뀌어 ‘’으로 나타난다. 이후 18세기에 오면 ‘’에서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와 결합할 때에도 ‘’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18세기에 모음 ‘ㅣ’가 ‘ㅡ’로 바뀐 ‘’ 형태가 나타난다. 19세기에 ‘ㄱ’의 된소리가 ‘ㄲ’으로 표기된 ‘끈’이 등장하여 현대에 이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긶, 긴, , , , 끈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긶)
 琥珀 구스를 긴헤 여 미러 낙새 다게고 ≪1466 구방 상:50ㄱ
16세기 : (긶, 긴, , )
머리 기  나게 며 향 긴 여 다 비에 향내 고 ≪1588 소언 2:4ㄴ
비단  자콰 석 자 반만  깁으로 긴콰 안 거시오 ≪1510년대 번박 48ㄱ
, 纓  ≪1527 훈몽 중:12ㄱ
올녁  것 며 뎐 오 신 신고 신  율 디니라 ≪1588 소언 2:2ㄱ
인 슈 ≪1576 신합 하4:2ㄴ
가거리예 아래  구슬로  자 간다개 드리웟고 ≪1510년대 번박 29ㄱ
17세기 : (긶, 긴, )
도적의 물이 크게 니러 즉제 플 이예 라가 듕의 긴 글러 목 라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7:11ㄴ≫
븕나모를 구슬 갓긴티 그라 고 ≪1653 벽신 14ㄴ
帽珠兒 갓1690 역해 상:43ㄴ
18세기 : (, , )
玄紞은 祭服冠의 드리온 히오1736 여사 3:66ㄱ
冠纓 관1775 역보 28ㄱ
거둔 장물이 오딕 실노 친 과 면듀실 리라 ≪1758 종덕 하:67ㄱ
 君王이 목 깁과 네 로 婢子 幣邑에 取커시 ≪1737 어내 2:24ㄱ
19세기 : (, , 끈)
纓 ≪1880 한불 173
가족 이 랄 둘너  듯여 ≪1852 태상 3:08ㄱ
나ㅣ 감히 그 신 끈도 풀지 못리니 ≪1865 주년 59ㄴ

관용구·속담(7)

관용구끈(을) 달다
어떤 현상이나 일들이 잇따라 일어나다.
  • 딸이 날쌔게 바늘을 빼내면 어머니의 시르륵 하는 바디 소리가 끈을 단다. ≪현대 조선 문학 선집, 선대≫
관용구끈(을) 붙이다
살아갈 길을 마련하여 주다.
  • 네가 끈을 붙이면 나는 더 바랄 것이 없다.
관용구끈(을) 잡다
의지하고 살아갈 길을 마련하다.
관용구끈이 길다
남모르게 하는 일이 너무 오래 계속되다.
관용구끈(이) 떨어지다
붙들고 살아가던 길이 끊어지다.
  • 병들고 직장까지 잃게 된 그는 이제 끈이 떨어진 신세이다.
관용구끈(이) 붙다
붙들고 살아갈 길이 생기다.
  • 겨우 끈이 붙었으니 이제는 밥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속담끈 떨어진 뒤웅박[갓/둥우리/망석중이]
의지할 데가 없어 꼼짝을 못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광대 끈 떨어졌다’ ‘턱 떨어진 광대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