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다스리다발음 듣기]
활용
다스리어[다스리어발음 듣기/다스리여발음 듣기](다스려[다스려]), 다스리니[다스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국가나 사회, 단체, 집안의 일을 보살펴 관리하고 통제하다.
나라를 다스리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넓은 영토와 많은 국민을 다스리기 위하여 제도를 개편하였다.
할아버지가 그 작은 동네에서나마 양반 노릇을 제대로 하려면 양반의 체통에 어긋나지 않게 집안을 다스려야 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몸을 닦고 가정을 돌본 연후에야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정한다 했소.≪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내 나이 아직 삼십 미만에 배운 것이 얕고 학식이 넓지 못하여 백성을 다스리기 극히 어렵소.≪박종화, 다정불심≫

역사 정보

다리다(15세기~19세기)>다스리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다스리다’의 옛말인 ‘다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리다’는 “다스려지다” 또는 “다스리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다-’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6, 18세기 문헌에는 분철 표기된 ‘다이다’의 예도 보인다. 16세기 이후에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7세기에는 ‘다스리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다리다, 다이다, 다스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리다)
波羅㮈大王이 어디르샤 正法으로 나라 다리더시니1447 석상 11:17ㄴ
제 모맷 婬과 怒와 癡 다리고  衆生 惡 能히 다릴 씨라 ≪1459 석상 23:35ㄱ
正法으로 나라 다려 百姓을 보차디 아니시며 ≪1459 월석 20:62ㄱ
七寶千子로 四天下 다료미 아바님 디시니 ≪1447 월곡 17ㄴ
16세기 : (다리다, 다이다)
게으르고 프러디면 能히 졍미 곧 궁구티 몯고 험고 조급면 能히 性을 다리디 몯리니라 ≪1588 소언 5:15ㄴ
 다리며 군 다리며 믈 다려 의게 니케  일이며 ≪1518 번소 9:11ㄱ
天下 다료 風俗을 히 며 어딘 사 어두모로 읏드믈 사몰 디니 ≪1518 번소 9:12ㄱ
다릴 티 ≪1575 천자-광 28ㄱ
德으로 셩을 다이니1588 소언 4:34ㄴ
17세기 : (다리다, 다스리다)
질이 고 아다와 쇼과 가례로 모믈 다리더라 ≪1617 동신속 열2:36ㄴ≫
男편은 밧 일을 다리고 女편은 안 일을 다리며1632 가언 2:16ㄱ
훈이 집은 다스리디 아니매 쳐로 운의게 의탁니 ≪1617 동신속 효5:13ㄴ≫
그 법에 범 줄을 디 못야 죄예 흘러 디거든 관원이 이예 법을 자바 다스리면 그믈로 새를 잡으며 함졍으로 즘을 잡음 니 ≪1658 경민-개 서:2ㄴ
18세기 : (다리다, 다이다, 다스리다)
다리다1790 몽해 상:38ㄴ
졈어셔브터 學을 講호 곳 을 다리며 性을 치기로  本을 삼아 ≪1737 어내 1:22ㄴ
禮애 일되 天子 陽道 다려  天下의 外治 聽고 后 陰德을 다려  天下의 內治 다 니 ≪1737 여사 서:2ㄴ
내 형이 아니면 가 엇디 다이리오1797 오륜 형:40ㄱ
蠲은 다스리단 말이오 ≪1737 여사 3:66ㄱ
믜오되 내 뎌를 다스릴 法이 업세라 ≪1765 박신 3:2ㄱ
19세기 : (다리다, 다스리다)
다리다 治 ≪1880 한불 462
관원을 강박야 셩인을 죽을 죄로 다리게 매 ≪1865 주년 78ㄱ
셩인은 본 구셰쥬의 압길흘 다려 인도시 쟈ㅣ니 ≪1865 주년 59ㄴ
우리 등의 화기를 힘지 아니 를 다스리시니1883 과화 11ㄴ
뎌가 맛당히 다스려 모단 원슈로 그 발 알에 두물 기달이미오 ≪1887 성전
위로